[DB를 열다] 1971년 웅덩이 빙판에서 팽이치기 하는 아이들

[DB를 열다] 1971년 웅덩이 빙판에서 팽이치기 하는 아이들

입력 2013-04-03 00:00
수정 2013-04-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71년 12월 7일 초겨울 얼어붙은 커다란 웅덩이에서 팽이치기를 하는 아이들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아마도 학교 수업을 마치고 하굣길에 친구들과 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팽이를 치는 녀석의 것으로 보이는 책가방은 그대로 얼음판 위에 놓여 있다. 네댓 명의 아이들은 팽이 치는 모습을 먼발치에서 바라보고 있다.

팽이는 중국 당나라 시대에 성행하다 한국과 일본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팽이는 시골에서는 나무를 깎아 만들지만 1980년대 이후에는 플라스틱이나 쇠로 만든 팽이도 나왔다. 팽이는 얼음 위에서 돌리는 것과 땅에서 돌리는 것이 있다. 얼어붙은 강물이나 논바닥에서 치는 팽이는 높이가 5㎝ 안팎인 원통 모양이며 얼음 위에 놓고 채로 치면 돌아간다. 채는 40∼50㎝쯤 되는 막대기 끝에 헝겊 끈을 달아 만든다. 팽이치기 놀이도 여러 가지가 있다. 얼음판 위에서 5∼10m의 목표 지점을 정해 놓고 팽이를 치면서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도는 팽이를 맞부딪쳐 상대편 팽이를 쓰러뜨리는 팽이싸움 놀이가 있다.

흙바닥에서 돌리는 팽이는 깔때기 모양으로 기다란 줄을 팽이에 감아 마치 야구의 투수가 공을 던지듯이 팽이를 던져 돌린다. 이 팽이도 서로 맞부딪치게 하거나 또는 팽이를 손바닥에 올려놓았다가 다른 팽이 위에 떨어뜨려 찍어 멈추게 하는 놀이를 한다. 때로는 정확히 찍으면 아래에 있는 팽이가 쪼개지는 일도 있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4-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