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모판 뜨기/박홍기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모판 뜨기/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5-23 23:20
수정 2017-05-24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골에서의 아침은 늘 빠르다. 두런두런하시는 소리에 깼다. 아침 5시 30분쯤, 훤했다. 밥을 먹은 뒤 들에 나갈 채비를 했다. 허름한 옷에다 장화, 장갑, 모자를 챙겼다. 농군이 따로 없다. 경운기에 올라탔다. 물이 찬 논은 거대한 거울 같았다. 써레질에 편평했다. 논물에는 파란 하늘이, 산이 있었다.

못자리는 잔디처럼 가지런했다. 아버지가 뗀 모판을 경운기에 실었다. 모처럼 힘을 썼다. 농사일, 쉽지 않다. 점점 몸에 익숙해질 즈음 사촌 형제도, 직장에 다니는 조카도, 대학생 큰애도 합류했다. 모판을 떼고, 싣고, 나르고, 내려놓고?. 착착 스스로 알아서 했다. 흐뭇해하셨다. 차가운 물과 참외를 가져오신 어머니가 “일꾼이 많아 올핸 내가 놀고 먹는다” 농담을 던지셨다.

반나절쯤 지나자 기다랗던 못자리도 사라졌다. 모판은 모내기를 할 논 가장자리에 가지런히 놓였다. 다들 얼굴엔 땀이 흐르고, 옷은 온통 논물에 젖고 얼룩졌다. “사실상 모내기도 끝. 서울 사람들, 고생했다.” 한말씀하셨다. 모내기는 이앙기의 몫이다. 대충 씻고 둘러앉아 막걸리 한 잔을 들이켰다. 마디마디 쑤시던 몸이 풀리는 듯했다.
2017-05-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