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두 번 읽기/황성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두 번 읽기/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7-07-19 22:24
수정 2017-07-19 2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똑같은 일을 하고 사는 게 인생이라고 한다. 밥 먹거나, 잠자는 생존에 필수적인 일들이야 저세상으로 갈 때까지 끊임없이 되풀이해야 할 일이다. 특별히 귀찮거나 하지 않다. 아침 일찍 일어나 개와 산책을 하고, 커피를 끓여 놓고, 청소를 한다거나 하는 일상적인 일은 생존과는 관계없지만 내가 하지 않으면 아내가 짐을 떠안아야 하니 가사 분담이란 점에서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가끔 싫증이 나고 꾀부리고 싶을 때도 있지만, 꾹 참고 매일 반복을 한다.

같은 책을 두 번 읽기란 커피를 끓이고, 청소를 하는 일과는 차원이 다르다. 한 번 읽은 책은 다시는 손에 잡히는 일 없이 책장에 바로 꽂히거나 헌책방으로 가는 신세가 되는 게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두 번 이상 읽고 싶은 책들이 없는 건 아니다.

1719년 한양과 일본의 에도를 왕복했던 조선통신사 신유한(申維翰)의 ‘해유록’(海遊錄)이 그중 하나다. 3년 전 1개월을 들여 읽고는 다시 읽어야지 했던 책인데, 다시 손에 잡았다. 30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는 한·일의 풍경이 책의 포인트. 여름 나기론 제격인 두 번 읽기다.

황성기 논설위원 marry04@seoul.co.kr
2017-07-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