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109구 신원 확인 ‘가족 품에’ 유해 13만여구 아직 못 찾아

[커버스토리] 109구 신원 확인 ‘가족 품에’ 유해 13만여구 아직 못 찾아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5-10-23 22:32
수정 2015-10-23 23: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갈 길 먼 국방부 유해발굴사업

2000년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국방부의 유해발굴사업은 애초 3년간 한시 운영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같은 해 4월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이 구축됐던 경북 칠곡군 다부동 369고지에서 최승갑 일병의 유해가 발굴되면서 달라졌다. 유해와 함께 ‘崔承甲’이란 이름이 새겨진 삼각자와 호루라기가 나왔고 수도사단 소속으로 참전한 고인의 신원이 확인돼 부인 등에게 전달되면서 국민적 관심을 끌게 된 것. 이 사연은 훗날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2004)의 모티브가 됐다.

2000~2002년 13구의 신원을 확인해 유가족 품에 돌려보내는 성과를 거두자 국방부는 유해발굴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2007년 육군본부의 한시 조직이던 유해발굴기획단이 국방부 직속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MBC 예능 프로그램 ‘진짜사나이’ 촬영 중 전사자의 유해와 인식표를 발굴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내에 자리잡은 국유단은 조사, 발굴, 감식 등 5개과 210여명으로 구성돼 있다. 2007년 11억여원에 불과했던 예산은 정전 60주년이던 2013년 163억여원까지 늘어났다. 올 예산은 70억여원 수준이다. 지금껏 국유단이 발굴한 유해는 국군 8600여구를 비롯해 9800여구에 이른다. 이 가운데 109구의 신원이 확인됐다. 미신원 확인 유해는 현충원의 현충탑과 충혼당에 2100여구, 국유단 유해보관소(국선재)에 6300여구가 보관 중이다. 전사·실종자 16만여명 중 찾지 못한 유해가 13만 3000여구에 이르는 만큼 앞으로도 국유단이 갈 길은 멀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5-10-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