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하
유용하 기자
어려워보이는 과학은 먼 나라 이야기도, 우리와 상관없는 이야기도 아닙니다. 최신 과학을 재미있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획·연재
  • 달콤한 사이언스
  • 사이언스 브런치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생각 없음, 그렇게 공범이 된다

    생각 없음, 그렇게 공범이 된다

    독일계 미국 정치이론가 해나 아렌트는 1961년 나치 친위대 출신의 아돌프 아이히만을 상대로 진행된 전범 재판을 참관하고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란 책을 냈다. 여기서 그 유명한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비판적 사고 없이 명령에 복종하고 다수 의견에 무조건 따를 때 나타나는 위험을 경고한 것이다.미
  • “공부하라”는 부모님 잔소리 흘려들어서는 안 되는 이유

    “공부하라”는 부모님 잔소리 흘려들어서는 안 되는 이유

    초·중·고등학교 학생이 가장 듣기 싫은 소리는 아마 “공부하라”는 말일 것이다. 학생들에게는 잔소리로 들릴 이런 말이 실제로 중년 이후 삶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덴마크 코펜하겐대 공중보건학과, 서던 덴마크대 국립 공중보건 연구소, 코펜하겐 대학병원, 덴마크 통계청 공동 연구팀은 청소년기의
  • ‘뇌 속 별세포’서 찾은 조울증 맞춤 치료제

    ‘뇌 속 별세포’서 찾은 조울증 맞춤 치료제

    조울증이라고 불렸던 양극성 정동장애는 조증과 울증이 반복되는 뇌 질환으로 전 세계 인구의 1~2%가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을 치료제로 사용하지만 환자마다 치료 효과가 달라 맞춤형 치료법 개발이 절실하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양극성 정동장애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높인 연구 결과를 내놔 눈길을
  • ‘극한 폭염’ 가속화시킨 인류

    ‘극한 폭염’ 가속화시킨 인류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ETH Zurich),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 미국 기후책임감연구소, 네덜란드 틸뷔르흐대, 독일 베를린 기후분석연구소, 베를린 훔볼트대, 영국 옥스퍼드대, 프랑스 기후·환경과학 연구실, 벨기에 브뤼셀 자유대 공동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전 세계에서
  • 지구서 52억㎞ 소행성 ‘류구’… 지구 물의 기원 비밀을 품다

    지구서 52억㎞ 소행성 ‘류구’… 지구 물의 기원 비밀을 품다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무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호’(사진)는 4년 넘게 52억㎞를 날아 2019년 소행성 ‘류구’ 표면에 착륙해 탐사한 다음 이듬해 약 5.4g의 암석 시료를 지구로 보내왔다. 소행성은 약 46억년 전 태양계가 생겨났을 당시 흔적이 담겨 있는 타임캡
  • UNIST-포스텍 연구진, 더 진짜 같은 인공 신장 개발

    UNIST-포스텍 연구진, 더 진짜 같은 인공 신장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와 포스텍 기계공학과 공동 연구팀은 사람 신장의 배관망 구조와 세포 기능을 재현한 인공 미니 신장(신장 오가노이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재료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사람의 신장은 몸 속 노폐물을 걸러주는 네
  • 기후변화, 설탕, 당뇨의 상관관계, 알고 보니…

    기후변화, 설탕, 당뇨의 상관관계, 알고 보니…

    날씨가 더우면 시원한 탄산음료를 찾게 된다. 탄산음료를 많이 찾다 보면 첨가당을 자기도 모르게 섭취해 대사질환에 걸리기 쉽다. 그런데, 기후변화로 인해 평균 기온이 높아질수록 설탕 섭취가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카디프대 지구·환경 과학부, 사우샘프턴대 해양·지구 과학부, 중국 저장대 공공 관계
  • 한국인 독서율 88% 육박하는데 문해력 떨어지는 이유는?

    한국인 독서율 88% 육박하는데 문해력 떨어지는 이유는?

    지난해 한국인의 독서율이 88%에 육박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그동안 한국 독서율이 세계 최저 수준이라는 주장도 문제가 많다고 지적됐다.대한출판문회협회 산하 한국출판독서정책연구소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4년 독서문화 통계 보고서’를 8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성별, 나이, 지역을 고려한 비례배분 방식
  • 앵무새도 사람처럼 친구 보고 배운다

    앵무새도 사람처럼 친구 보고 배운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무의식, 내적 사고나 감정을 연구하는 대신 눈으로 볼 수 있는 행동의 결과와 보상에 대한 영향을 연구한다. 그중 타인의 행동을 관찰해 학습할 수 있다는 사회학습 이론이 있다. 사회학습은 인간과 영장류 등에서만 주로 관찰되는 학습 방법이다.그런데, 독
  • 인간은 뭘까… AI가 바꿀 미래 미리 보는 서적 붐

    인간은 뭘까… AI가 바꿀 미래 미리 보는 서적 붐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 정부는 AI를 세계 경제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 체인저’로 규정하고 ‘세계 3대 AI 강국’ 도약을 국정 과제로 내세웠다. 그러나 일반 시민들은 정부 정책보다 AI로 인해 우리의 삶과 미래가 어떻게 바뀔 것인가에 더 관심이 크다. 최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