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은 9월인데 거리는 여전히 여름의 열기에 눌려 있다.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듯하다가도 한낮 햇볕이 땀을 불러낸다. 계절은 분명 바뀌었는데, 도무지 실감이 나지 않는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을 빌려 말하자면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 가을이 왔으되 가을 같지 않은 요즘이다.옷차림도 제각각이다. 지하철 안
9월 3일, 중국 베이징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은 역사적 장면을 연출하게 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세 나라의 최고 권력이 한 무대에 동시에 서는 것은 처음이다. 반세기 넘게 협력과 불신을 반복해 온 북중러 관계가 다시금 결속의 형식으로 응집되는 순간이자
1987년 부동산 개발업자였던 도널드 트럼프는 ‘거래의 기술’을 펴냈다. 출간 직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13주간 정상을 지킨 책은 그를 단순한 사업가가 아니라 협상의 달인으로 각인시켰다. 그가 책에서 제시한 “크게 요구하고 원하는 것을 챙기라”는 원칙은 정치인으로 변신한 뒤에도 외교 무대에서 반복
미국은 자유시장경제의 본산이었다. 대공황과 전시 경제를 빼면 정부가 기업 지분을 직접 보유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규제와 세제, 연구개발 지원은 했어도 경영은 민간의 몫이었다.그런 미국이 지금 다른 길을 모색하고 있다.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으로 지급한 수백억 달러 보조금을 비의결권 지분으로 전환해
요즘 들어 산책길에 매미의 사체가 부쩍 눈에 띈다. 한여름 내내 숲을 채우던 강렬한 울음 소리도 힘이 많이 떨어진 듯하다. 맹위를 떨쳤던 무더위도 예전 같지 않다. 여름의 끝자락이 천천히 다가오는 것이 느껴진다.계절이 저물듯 매미 또한 제 몫의 시간을 다하면 떠난다. 땅속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다 마침내 땅 위로
매관매직(賣官賣職). 관직을 사고파는 부패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에서든 국가를 병들게 했다. 중국 명·청 말기에도 관직 매매가 몰락의 전조였지만, 우리 역사에서는 조선 후기의 기억이 유독 쓰라리다. 세도가문이 권력을 독점하고 돈으로 관직을 거래하면서 나라 기강이 무너졌다. 관직을 산 자들은 부임과 동시에 백성을
1945년 2월, 크림반도의 휴양지 얄타에서 루스벨트·처칠·스탈린이 마주 앉아 전후 세계질서를 그렸다. 동유럽의 소련 점령과 한반도 38선 분할 점령까지. 당사국의 동의 없이 강대국의 펜 끝에서 운명이 정해졌다. 이 얄타회담은 냉전의 서막이자 한반도 분단의 출발점으로 기억된다. 강대국 간 합의는 늘 그들의 이해를
동네에 무장애 숲길이 생긴 뒤로 걷는 일이 훨씬 자연스러워졌다. 길이 평탄해서 누구나 편히 걸을 수 있고, 양옆으로 나무가 울창해 마음이 편해진다. 처음엔 단지 운동 삼아 다녔는데, 자주 걷다 보니 걸음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그 길은 빠르게 걷기에는 아깝다. 산새 소리, 바람에 흔들리는 잎사귀, 계절
지난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지니어스법’(GENIUS Act)은 미국이 세계 디지털 금융 질서를 재설계하겠다는 선언이다. 민간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달러 패권 체계를 구축하려는 포석이 담겼다.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법정통화에 가치를 연동한 디
그는 대통령도, 장관도, 공직자도 아니었다. 실적도, 기술도, 검증된 경험도 없었다. 그러나 자신이 창업한 스타트업에 180억원의 대기업 투자를 끌어올 수 있었다. 카카오, 키움, 증권금융, HS효성 등 재계에서도 손꼽히는 이들이 ‘그의 회사’에 줄을 섰다. 왜일까. 정답은 단순하다. 그는 김건희 여사의 ‘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