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고민주공화국(이하 민주콩고) 동부 니라공고 화산 재폭발 위험에 피난민도 갈수록 늘고 있다. CNN에 따르면 30일까지 24시간 동안 니라공고 화산 주변에서는 92회의 지진과 진동이 추가로 발생했다./사진=CNN
콩고민주공화국(이하 민주콩고) 동부 니라공고 화산 재폭발 위험에 피난민도 갈수록 늘고 있다. CNN에 따르면 30일까지 24시간 동안 니라공고 화산 주변에서는 92회의 지진과 진동이 추가로 발생했다.
해발고도 3470m 니라공고화산은 22일 대폭발을 일으켰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용암류는 북키부 베니를 관통해 인구 200만 도시 고마로 향했다. 최소 36명이 숨졌으며, 2만 명이 집을 잃었다. 실종자도 다수다.
1차 폭발 이후 화산 주변 지역에는 여진이 잇따랐다. 진동은 화산이 있는 비룽가국립공원에서 100㎞ 이상 떨어진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서도 감지됐다. 북키부 군정총독 콘스탄트 니디마는 30일 CNN에 “지난 24시간 동안 92차례 지진과 진동이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CNN
그렇다고 마냥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테데스코 박사는 “지진 활동의 절정은 지났으나 또 다른 폭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면서 복귀를 서두르지 말라고 강조했다. 박사는 피난민들이 다시 집으로 돌아와도 괜찮을지, 안전할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며칠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발고도 3470m 니라공고화산은 22일 대폭발을 일으켰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용암류는 북키부 베니를 관통해 인구 200만 도시 고마로 향했다. 최소 36명이 숨졌으며, 2만 명이 집을 잃었다. 실종자도 다수다.
전문가들은 고마 지역 아래 마그마가 현재 키부 호수 아래까지 연장돼 있다고 지적했다. 만약 호수 아래에서 화산이 분화하면 물속에 용해된 수십만t의 이산화탄소가 밀려 나오면서 생명체를 질식시킬 우려가 있다. 실제로 1986년 카메룬 니오스 호수에서 발생한 담수형 분화로 1700명이 숨지고 수천 마리 소가 폐사했다.

EPA연합뉴스

28일(현지시간) 북키부 주민들이 배를 타고 키부 호수를 건너 탈출하고 있다./AP연합뉴스
결국 기자회견에 나선 치세케디 대통령은 “상황은 분명 심각하지만 통제되고 있다”며 들끓은 여론을 진화했다. 임시수용소에서 고마로 복귀한 주민들에 대해선 “언제 어디서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용암이 도시 밑을 흐르고 있다”면서 화산 활동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므로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민주콩고 주민들은 27일 북키부 당국의 예방적 대피령에 따라 피난길에 올랐다. 피난민 40만 명이 물밀듯 쏟아져 나오면서 일대는 아수라장이 됐다. 모든 도로가 꽉 막혔고, 갈 곳을 정하지 못한 피난민들은 우왕좌왕했다./AP연합뉴스

27일 대피령에 따라 고마를 탈출한 주민들이 고마에서 서쪽으로 25km 떨어진 사케 지역의 한 식량 배급소에서 배급을 애원하고 있다./AP연합뉴스
현지언론은 “피난민은 슬픈 운명에 내버려진 듯한 인상을 받았다. 국가 부재를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라고 꼬집었다. 피난민 마리 클레어 우와인자(39) “두 아이를 데리고 갈 곳이 없다. 집은 모두 불에 탔고 남은 게 아무것도 없다”며 망연자실해 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