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오랜 꿈이 있는데, 성적이 좀 좋다고 목표를 바꿔 특목고 갈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최진우군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최진우군
내년에 마이스터고인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전기에너지과에 입학할 예정인 서울 마포구 창천중학교 3학년 최진우(15)군은 꿈을 이루기 위해 수도전기공고를 선택했다고 당차게 말했다. 최군은 상위권 성적임에도 왜 하필 수도공고를 선택했느냐는 면접관의 질문에도 같은 대답을 했다고 말했다.
최군은 내년 수도공고 신입생 중 내신성적이 4%로 가장 우수하다. 사교육을 한번도 받지 않고 혼자 공부해서 얻은 성적이라 더 알차다. 특목고에도 넉넉히 갈 수 있는 성적이고, 그래서 한때는 잠시 과학고 진학을 고민해 보기도 했다.
그러나 최군은 자신의 관심 분야를 공부할 수 있는 공업고 외에는 다른 학교는 없다고 결정했다. 최군은 “어릴 때부터 혼자 시계를 해체했다가 다시 조립해 보기도 했고, 평소 컴퓨터 조립하는 게 취미다. 또 전기회로 같은 것에 관심이 많다. 공고에 가서 더 많은 것을 배워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부모도 최군의 꿈을 적극 지지했다. 아버지 최승기(50)씨는 “처음에는 인문계 고등학교에 가라고 말했다. 그런데 본인이 워낙 소신이 뚜렷하니 아들의 꿈을 지지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최씨는 “나는 대학을 졸업했지만 자신의 적성을 찾아서 일을 할 수 있다면 굳이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될 것 같다.”면서 “요즘에는 좋은 대학을 나와도 직장을 못 구해 미래가 불투명하지 않은가. 그렇게 보면 아들의 선택이 옳은 것도 같다.”고 덧붙였다. 최군 역시 아버지 최씨와 같은 생각이다. 최군은 “언론에서 대학 나와도 취업이 어렵다고들 하는데 꼭 힘들게 대학을 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보다는 내 꿈을 좇는 게 더 행복하다고 판단했다.”며 웃었다.
최군의 담임인 백인숙 교사도 최군의 결정을 반겼다. 백 교사는 “(최군이) 활발하고 항상 노력하는 학생이다. 본인이 예전부터 전기 분야에서 꿈을 이뤄보겠다고 말하곤 해 수도공고에 지원해보는 게 어떻겠느냐며 추천을 해줬다.”며 최군이 대견스럽다고 말했다.
내년의 학교생활이 기대된다는 그는 “원하는 공부를 하면서 조용히 지내고 싶습니다. 저와 같은 꿈을 가진 친구들이 많을 텐데, 함께 어울려 공부할 것을 생각하니 즐겁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