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치열·경제 어려워진 탓”
지난해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이하라고 신고한 변호사 등 전문직 종사자가 1만명을 넘었다. 경쟁이 치열해진 탓도 있지만 소득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국세청이 17일 박덕흠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9개 전문직 종사자 10만 1050명 중 한 달 평균 200만원도 못 번다고 신고한 사람이 1만 337명이다. 조사 대상은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건축사, 변리사, 법무사, 감정평가사, 의료업 등 이른바 ‘고소득 자영업자’로 분류되는 전문직이다. 이들의 연평균 매출은 2억 67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10.2%는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라고 신고했다.
직종별로 보면 건축사는 전체 9557명 중 연소득 2400만원 이하 신고자가 2365명으로 24.8%다. 연소득 2400만원 이하 신고자의 비율은 건축사에 이어 감정평가사(17.6%), 변호사(17.0%), 법무사(12.6%), 회계사(9.2%), 변리사(8.7%), 의사(7.9%), 관세사(7.6%), 세무사(7.5%) 등 순이다.
앞서 2012년에 연소득을 2400만원 이하라고 신고한 전문직 종사자는 전체의 9.1%인 9095명이었다.
박 의원은 “전문직 종사자가 늘어난 만큼 경쟁이 치열해지고 경제가 어려워진 탓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들 직군의 평균 매출액이 상당히 높은 점을 고려하면 소득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세청의 지난 8년간(2005∼2012년) 고소득 자영업자 기획 세무조사 현황을 보면 고소득 자영업자의 소득적출률(세무조사를 통해 적발한 탈루액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다. 100만원을 벌면 44만원은 세무서에 신고하지 않고 숨겼다는 얘기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4-09-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