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레스토랑·공연장 등 복합몰 설립… 내년 전세계 한류 경제효과 20조 목표
한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한류 융·복합 사업 추진을 목표로 지난 6월 출범한 민관 합동 ‘한류 기획단’이 내년 전 세계 한류 동호회원 4000만명과 경제 효과 20조원을 목표로 세웠다. 지난해 기준으로 글로벌 한류 동호회원은 2100만명이고, 경제 효과는 1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한류기획단은 18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4차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해 내년 민관이 함께하는 한류의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지역별로는 한류 핵심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의 경우 현재 차관급이 참가하는 한·중 문화산업포럼의 참석자를 장관급으로 격상하고, 문화체육관광부·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 부처를 포괄하는 ‘문화산업 정책협의체’를 신설해 중국 진출 기업의 사업 환경 개선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한류 열기가 낮은 중국 중서부 내륙은 최대 인구 밀집 도시인 충칭을 거점으로 개척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한류 콘텐츠부터 패션, 뷰티, 한식 레스토랑과 공연장을 겸비한 복합몰인 가칭 ‘케이 플래그십 스토어’(K-Flagship Store)를 설립해 내륙의 ‘한류 허브’로 삼는다. 또 현지에서 원스톱 기업 지원을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 충칭사무소도 개설한다.
한류 성숙 시장인 일본에는 한류문화사절단을 파견하고, 한·중·일 문화산업포럼을 재개해 2012년 이후 다소 둔화한 한류를 재점화하기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다른 한류 성숙 시장인 동남아시아의 경우 세계 4위 인구 대국(2억 5000만명)인 인도네시아를 교두보로 한류 확산을 노린다는 전략을 세웠다. 인도네시아에 처음으로 콘텐츠진흥원 사무소를 열어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신흥 시장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는 중동 최초 문화원과 한국 문화 체험관을 설립한다. 아울러 한류박람회, 시장개척 로드쇼와 같은 정부 주도의 한류행사와 ‘케이콘’(KCON), ‘엠넷 뮤직 어워드’(마마) 등 민간행사의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복안이다. 기획단은 ‘마마+’라는 하위 브랜드를 구축해 새로운 민관 협력 성공모델로 개척할 계획이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5-12-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