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집값은 안정세를 보이고 거래와 공급은 예년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8일 발표한 ‘2016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전국 집값은 0.8%, 전셋값은 1.3%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공급과잉 논란, 여신심사 강화,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반기 주택시장이 급격히 위축됐지만 4월부터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집값은 하반기에도 1.2% 올라 올 한 해 동안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 공급물량은 지난해 이어 상반기까지 증가하고 있으나 하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감소해 27만가구 안팎에서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거래량도 하반기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 이상 줄어들어 45만건 안팎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기업구조조정으로 실업이 발생하면 가계 소득감소와 소비위축으로 이어져 주택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택시장 불확실성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주택시장 안정유지를 위한 정책 마련과 신속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주택산업연구원은 8일 발표한 ‘2016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전국 집값은 0.8%, 전셋값은 1.3%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공급과잉 논란, 여신심사 강화,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반기 주택시장이 급격히 위축됐지만 4월부터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집값은 하반기에도 1.2% 올라 올 한 해 동안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규 공급물량은 지난해 이어 상반기까지 증가하고 있으나 하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감소해 27만가구 안팎에서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거래량도 하반기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 이상 줄어들어 45만건 안팎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기업구조조정으로 실업이 발생하면 가계 소득감소와 소비위축으로 이어져 주택시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택시장 불확실성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주택시장 안정유지를 위한 정책 마련과 신속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