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 3주 보관·청국장 발효… 김치냉장고의 ‘똑똑한 변신’

바나나 3주 보관·청국장 발효… 김치냉장고의 ‘똑똑한 변신’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7-11-02 17:40
수정 2017-11-02 18: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계절 가전’ 세컨드 냉장고로

김장철이 다가온다. 1인 가구와 핵가족 증가로 집에서 스스로 김장을 담그는 가정은 점점 줄고, 사먹는 김치 수요도 늘면서 ‘한국형 계절 가전’이던 김치냉장고가 ‘사계절 가전’으로 변신하고 있다. 김장 외에도 깍두기, 묵은지 등 다양한 김치의 숙성·보관은 물론 육류부터 생선 등 신선식품까지 보관하는 세컨드 냉장고로 진화하는 모습이다.

2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김치냉장고의 연간 국내 판매량은 2013년 100만대를 처음 돌파한 뒤 지난해 130만대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오르고 있다. 하지만 10월 이후 찬바람이 불면 매출이 올라가던 구매 패턴이 달라지는 모습이다. 2015년까지만 해도 전체 판매량의 절반 이상(55%)이 4분기에 집중됐지만, 지난해에는 그 비중이 40%대로 줄었다. 이른바 비(非)김장철 수요가 김장철보다 많아졌다는 이야기다. 올해도 이런 경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뚜껑형’ 김치냉장고는 크게 줄고 ‘스탠드형’이 늘고 있다. 김치 외에도 일반 냉장고에 장기간 보관하기 어려운 식재료들을 보관하고 싶어 하는 수요가 기능과 디자인에 반영된 결과다. 또 스탠드형은 뚜껑형에 비해 저장용량은 크고,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쉽게 식품을 넣고 꺼낼 수 있다. 지난해 기준 판매량은 스탠드형과 뚜껑형이 7대3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김치맛과 식감을 살린 유산균 발효, 직접 냉각 방식 등 김치냉장고의 고유 기능 역시 까다로워지는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다양해졌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김치플러스’
삼성전자 ‘김치플러스’
●삼성 ‘김치플러스’ 진짜 땅 속 같은 환경

가전업체들도 올 하반기에 이런 추세를 반영한 신제품을 속속 내놨다. 삼성전자가 6년 만에 새로 선보인 ‘김치플러스’는 냉장 보관이 어려운 감자, 바나나를 최대 3주까지 보관할 수 있다. 6단계 김치 보관 기능에 11단계 식품 보관 기능까지 합하면 총 17단계의 맞춤형 보관이 가능하다. 쌀이나 콩 같은 곡류, 장류, 와인, 육류·생선까지 각각 냉장, 냉동, 생생 모드로 보관한다. 진짜 땅속 같은 환경을 만들고, ±0.3℃를 넘어가지 않는 정온 유지 성능으로 김치맛을 살려 준다는 설명이다.
LG 디오스 ‘김치 톡톡’
LG 디오스 ‘김치 톡톡’
●LG 디오스 ‘김치 톡톡’ 다용도 분리벽

LG전자는 신형 디오스 김치 톡톡에 다용도 분리벽을 설치했다. 식재료를 보관하는 패턴이 집집마다 다른 만큼 각 칸을 냉장고, 냉동고, 김치냉장고 등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했다. 유산균 보존을 강화한 ‘뉴유산균 김치플러스’ 기능은 감칠맛을 살려 주는 유산균을 기존보다 12배 늘려 준다. 덕분에 보관 기간도 1.5배나 더 길어졌다는 설명이다.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 기술로 에너지소비효율도 1등급을 받았다.
대유위니아 2018년형 딤채
대유위니아 2018년형 딤채
●위니아 딤채 주류별 맞춤 온도 보관

김치냉장고의 원조격인 ‘딤채’ 브랜드로 뚜껑형 김치냉장고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대유위니아는 ‘2018년형 딤채’를 내놨다. ‘스페셜 디(d˚)존’을 강화해 육류 숙성, 주류별 맞춤 온도 보관, 청국장 발효 기능까지 넣었다. ‘뚜껑형은 쓰기 불편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상부로 올려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동부대우전자는 1~2인 혹은 노인 가구에 적합한 102ℓ 소형 김치냉장고를 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김치냉장고 선택 요령에 대해 “김치맛 유지와 아삭한 식감을 위해서는 정온 유지 능력이 좋은 제품을, 다양한 식품을 보관하려면 식품별 맞춤 보관, 숙성 기능을 따져 보는 게 좋다”면서 “냄새 방지, 전기료 절약을 위한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여부까지 살펴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11-0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