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사상과 김수영 시학을 서로의 관점에서 해석
북코리아(www.북코리아.kr)의 ‘공자의 생활난’은 김수영론인 동시에 공자론이다. 공자의 생각으로 돌아가 김수영의 시학을 다시 파헤치고 김수영의 상상력으로 돌아가 공자의 사상을 되살려보자는 것이 책의 설정이자 목표다.
북코리아 제공
북코리아의 ‘공자의 생활난’.
북코리아 제공
북코리아 제공
어려운 시절을 살아냈던 김수영의 시학은 이런 시대의 예언처럼 다가온다. 우리는 거기서 제3의 교양을 개척하는 실험 정신뿐만 아니라 방법론적 지혜까지 찾을 수 있다.
김수영이 생각한 제3의 교양 세계는 무엇이었을까? 동서의 사상과 전통이 합류하는 현시대에 우리가 찾게 될 제3의 교양 세계는 어떤 것일까?
우리는 이 책에서 그의 작품세계를 통해 우리 나름대로 제3의 교양 세계를 발견할 수 있다.
저자는 동서고금의 철학이 끊임없이 조우하는 이 땅에서 철학은 동서의 교양을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02)704-7840.
2016-07-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