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전망

주산연은 ‘2015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1.5% 상승한 수도권의 집값이 내년에는 2.0% 정도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올해 4.5% 오른 수도권의 전셋값은 내년에는 5.0% 오를 것으로 점쳤다. 반면 지방의 집값 상승률은 올해 1.8%에서 내년 1.5%로, 전셋값은 올해 2.1%에서 내년 2.0%로 상승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시장 불안 요인으로는 저금리 상황과 전세주택으로 공급될 수 있는 준공(입주)물량 감소를 꼽았다. 특히 서울은 내년 입주 물량이 감소하고 재건축 이주 수요가 증가해 전세난이 올해보다 심각해질 우려가 짙다고 연구원은 보았다. 내년 서울 지역 재건축 멸실 주택은 5만 3000여 가구에 이르지만 새로 입주하는 주택은 4만 1000가구에 불과하다. 월세 가격은 초소형 주택의 과잉공급과 저금리 기조로 월세주택의 공급이 증가하면서 내년에도 하향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집값은 지방의 경우 가격 조정기에 접어들면서 상승폭이 점점 둔화되고, 수도권은 당분간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주택거래량은 수도권은 올해보다 다소 증가하겠지만 그동안 활황세를 보였던 지방은 가격 조정기 진입이 불가피해 올해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공급(인허가 기준)은 올해(48만~49만 가구)보다 줄어든 46만 가구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착공 물량은 43만 가구, 분양 물량은 올해보다 감소한 28만 가구 정도로 예상했다. 새로 입주하는 준공 주택은 40만 가구 정도이고 금리는 기준금리 2.0%대로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임차시장의 구조전환, 즉 전세의 월세 전환이 활발해지고 전셋값 불안이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전세시장 안정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이를 위해 준공공 임대주택을 월세가 아닌 전세주택으로 공급할 경우 현재 지원하고 있는 조세감면 및 기금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덕례 연구위원은 “전세 정책을 펴는 데 구매 능력이 떨어져 어쩔 수 없이 전세를 살고 있는 서민층과 구매 의욕이 떨어져 주택 매입을 유보하고 있는 계층을 명확히 구분해 차별화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2-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