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용 건축 허가 면적 16.7% 상승
주택시장이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기존 주택 거래가 증가하고 신규 아파트 청약 열풍이 거센 가운데 각종 경기 지표가 청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사들도 기회를 놓치지 않고 분양시장에 적극 뛰어들었다. 주택경기가 오랜 침체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회복세로 돌아선 것이 아니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건축 허가 면적은 1억 3804만 9000㎡로 전년과 비교해 8.7% 증가했다. 2013년에는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전년 대비 11.6% 감소했다. 주거용 건축 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16.7%(아파트 허가 면적 21.9%) 상승, 전체 건축면적 증가를 이끌었다. 엄정희 녹색건축과장은 “건축물 허가와 착공, 준공 실적이 모두 증가한 것은 건설·주택 경기가 회복세를 타고 있는 지표”라고 분석했다.
주택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장래 주택 시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도 크게 호전됐다.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이달 들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이달 HBSI는 전달보다 20.1포인트 오른 142.3로 나타났다. 2013년 11월 100을 넘어선 이후 상승·하락을 거듭하면서도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오는 중이다. 특히 분양계획지수와 분양실적지수는 2012년 7월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경기 호전 움직임이 보이면서 건설사들도 공격 경영을 펼치고 있다. 국내 300여개 민간 건설사는 올해 아파트 30만 가구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다. 중소업체 등이 공급하는 물량까지 더하면 지난해(33만 969가구)보다 훨씬 많은 36만여 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10대 건설사들의 분양 계획 물량은 지난해보다 40% 정도 증가했다. 지난해 중반부터 주택시장 회복세가 나타나자 건설사들이 공급 계획을 늘려 잡은 것이다.
닥터아파트 집계에 따르면 다음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은 2만 3000여 가구로 전달보다 4.9% 증가했다. 한 달 분양 물량치고는 2007년 12월 이후 최대치다. 수도권 분양 물량도 15년 만에 최대치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상승과 하락 중 방향성을 찾기 쉽지 않았던 주택사업환경지수가 이달에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반기 주택시장 회복에 힘이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3-1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