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6년 조선의 마지막 왕비 윤씨 장례 행렬

[DB를 열다] 1966년 조선의 마지막 왕비 윤씨 장례 행렬

입력 2013-02-23 00:00
수정 2013-02-23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선시대의 마지막 왕비는 순정효황후 윤씨(1894~1966)다.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의 계비(繼妃)다. 순종은 순명효황후 민씨를 세자빈으로 맞았으나 즉위하기 전인 1904년 사망했다. 윤비는 윤택영의 딸로 1906년 13세에 동궁의 계비로 책봉되었다. 이듬해 순종이 황제로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아버지 윤씨는 친일 인사였는데 윤비는 그렇지 않았다. 1910년 창덕궁에서 일제가 한일병합조약을 맺으려고 순종을 협박하자 병풍 뒤에서 어전 회의를 엿듣던 윤비는 “덕수궁 상왕(고종)께 여쭈어야 한다”고 귀띔하고는 옥새를 빼앗아 치마 속에 숨기고 버티었다. 그러나 큰아버지에게 옥새를 빼앗기고 말았다.

나라가 패망하고 순종마저 후사 없이 죽자 윤비는 대비로 불리며 창덕궁에서 지냈다. 윤비의 강직한 성품에 얽힌 일화가 많다. 1950년 전쟁이 터졌지만 윤비는 피란을 가지 않고 창덕궁을 지켰는데 인민군 기마병이 들이닥치자 “이곳은 나라의 어머니가 지키는 곳이다”라며 호통을 쳐서 내쫓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듬해 전세가 급박해지자 부산으로 피란길에 오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휴전 후 윤비는 창덕궁으로 환궁하려 했지만, 이승만 정부가 정치적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환궁을 방해해 전세방을 전전하다 정릉의 인수제에서 거처했다.

1960년 윤비는 창덕궁 낙선재로 환궁하는데 구황실 사무총국장을 지낸 당시 공보처장 오재경의 도움이 컸다. 윤비는 만년에 영어 공부를 하고 책과 신문을 읽으며 소일했다. 불교에 귀의해 대지월(大地月)이라는 법명도 받았다. 젊었을 때부터 배운 영어 실력은 타임지를 읽을 정도였다고 전한다. 윤비는 1966년 2월 3일 7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윤비의 임종은 그녀를 평생 보필한 김명길 상궁이 지켰다. 유서에는 김 상궁을 위해 남은 재산을 써 달라는 유언이 적혀 있었다.

윤비의 장례식이 있던 날, 창덕궁에서 종로 3가, 동대문, 신설동을 거쳐 순종과 합장될 경기 남양주 금곡 유릉으로 가는 길에는 수많은 시민이 나와 조선 마지막 중전의 모습을 지켜봤다. 사진은 단성사 앞을 지나 종로 3가로 빠져나오는 장례 행렬의 모습이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