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4월 8일 오전 6시 40분쯤 서울 마포구 창전동 와우산 중턱 5층짜리 시민아파트 한 동이 무너져 내렸다. 이 사고로 미처 잠에서 깨지도 못했던 시민 33명이 사망했고 38명이 다쳤다. 아래 판잣집에 살던 1명도 희생되었다. 시민아파트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던 무허가 건물에 대한 대책이었다. 당시 김현옥 시장은 9만여채의 무허가 건물을 철거해서 거주자 대부분은 경기도 광주(현 성남시) 대단지에 이주시키고 나머지 가구들을 위해 시민아파트 건립 계획을 세웠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렇게 해서 1969년 한 해에만 서울 32개 지구에 406동 1만 5840가구의 아파트가 지어졌다. 단기간에 많은 아파트를 짓다 보니 공사가 부실해진 것은 당연했다. 더욱이 시민아파트들은 비탈진 산 중턱에 지어졌는데, 황당한 것이 아파트가 쉽게 대통령의 눈에 띄게 한다는 이유였다. 단 여섯 달 만에 준공된 와우아파트도 부실 덩어리였다. 건설업자는 무면허였고 공사를 따내기 위해 뇌물을 줘야 했기 때문에 공사비를 줄이려고 철근 70개를 넣어야 할 기둥에 겨우 5개만 넣었다. 콘크리트 기둥에도 시멘트를 적게 넣어 심하게 말하면 모래기둥을 세워 놓은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결국 와우아파트는 완공 넉 달 만에 참사를 불렀다. 이 사고로 김 시장이 물러나고 부실한 아파트들을 철거했지만 부실 공사에 따른 참사는 20여년 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재현됐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