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은주 제주올레 사무국장
그 가운데는 올레길을 걷다 제주의 풍광에 반해 눌러앉은 사람도 적지 않다. 올레길을 걷다 제주 이민을 결심한 사람들이 가장 먼저 찾아오는 곳이 제주올레 사무국이다.
“어느 지역이 살기에 가장 좋은가요?”, “제주에선 뭘 해 먹고살아야 할까요?”, “제주에 살면서 힘든 점은 없나요?” 등 온갖 질문이 쏟아진다. 그럴 때마다 제주올레 사무국이 해 줄 수 있는 답은 “한 1년쯤 살아 보며 직접 경험해 보고 결정하시라”고였다.
성의 없는 답변이라 여길지 모르겠지만 여행지가 아닌 거주지로, 도피처가 아닌 도전지로 선택한다면 적당한 수업료를 치러 가며 배워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은가. 서울 안에서도 동네를 바꿔 이사할 때는 이것저것 따져 보고 조사하며 수업료를 내지 않는가. 하물며 ‘말 통하는 외국’이라 불리는 제주 섬이다.
10년 전 인도 벵갈루루에서 1년을 생활하며 내가 느낀 인도는 ‘여행자의 천국, 생활인의 지옥’이었다. 여행하기에는 정말 멋진 곳이지만, 막상 정착해서 살자니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집을 구하는 데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또 다른 주인은 채식주의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집을 빌려 주지 않았다. 호텔 생활을 전전하며 간신히 구한 아파트에 입주해 전화 신청을 했더니 전화 설치에 석 달이나 걸렸다. 외국인 거주 등록비를 내러 간 은행에서는 세 시간이나 줄을 섰는데도 은행 문을 닫는 바람에 시간 내에 납입하지 못했던 적도 있었다. 스케줄에 맞춰 하루에 몇 가지씩 일을 처리하는 데 익숙했던 내게 인도에서의 1년은 ‘도 닦는 시간’이었다. 물론 ‘인도 생활의 도’를 터득하기까지 나는 인도에서 수없이 많은 ‘수업료’를 내야 했다.
제주 이민 역시 낯선 것을 익숙하게 하는 과정이고 거기에 덧붙여 새로운 삶까지 창조해 가는 과정이니 그 여정에 필요한 수업료는 지불해야 한다. 수업료란 내가 먼저 마음을 열고 손을 내미는 것이다. 마음을 열고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이해하고, 지역 주민과 소통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제주는 텃세가 심하고, 제주인은 배타적’이라고 말하지만, 제주 역사를 알고 나면 그 또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육지와 단절된 섬에서 터 잡아 살아온 사람들의 역사와 문화는, 그들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는 육지의 그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바람 불 때마다 올라오는 제주 바다의 쓰레기를 보면서 눈살을 찌푸리는 것이 아니라 그 쓰레기를 품고 괴로웠을 제주 바다의 마음을 헤아리며 손을 먼저 움직일 필요가 있다.
제주인과 제주 자연에 먼저 말 걸고 손 내밀기. 그것이 제주를 나중에 선택한 제주 이민자가 먼저 터 잡고 사는 사람들에게, 이 터를 만들어 준 제주 자연에 내야 할 수업료가 아닌가 싶다.
2013-10-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