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토론의 부재다. 그중에서도 선거토론의 빈약함은 정책 대결 부재와 함께 우리 선거를 비방과 흑색선전이 난무하는 네거티브 선거, 이미지 선거로 전락시키는 주요인으로 꼽혀왔다. 대선을 불과 40여일 남겨둔 지금까지 주요 후보들이 예능프로그램만 기웃거리며 TV 토론을 단 한 차례도 갖지 않은 이번 대선은 그런 점에서 역대 최악의 선거로 치닫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V 토론이 처음 도입된 1997년 대선 때의 54회를 시작으로 역대 대선에서는 후보 합동 또는 개별 토론회가 수십 차례씩 열려 유권자들의 선택을 도왔다. 모두 50여 차례로 그나마 TV 토론이 적었던 2007년 17대 대선 때도 선거를 40여일 앞둔 시점까지 크고 작은 후보 개별토론이 10차례 가까이 이뤄진 바 있다.
유독 이번 대선에서 TV 토론이 실종된 직접적 요인은 민주통합당 문재인·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문제다. 두 후보 중 누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맞수가 될 것인지, 링 위에 오를 선수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마땅한 토론 구도가 짜이지 못하고 있는 점이 제약 요소다. 그러나 박 후보 측 주장대로 세 후보 간 합동토론이 박근혜 대 문재인·안철수의 1대2 구도가 돼 균형이 맞지 않다면 각자 개별토론으로 대체하면 될 일이다. 그런 점에서 문·안 두 후보에 대한 토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 새누리당 박 후보 측이나, 이로 인해 추첨으로 순서를 결정하려다 13일로 예정됐던 토론일정 자체를 유보시킨 KBS 측의 행태 모두 옹색하기 짝이 없다고 할 것이다.
세 후보를 상대로 한 TV 토론이 여의치 않다면 문·안 두 후보를 상대로 한 TV 토론이라도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두 후보가 오늘 만나 단일화 논의에 본격 착수하기로 한 만큼 TV 토론 역시 더 이상 늦출 이유가 없다. 두 후보의 단일화 논의가 밀실 야합이라는 비난을 면하려면 향후 단일화 논의 전반이 투명해야 함은 말할 나위가 없거니와 이와 더불어 TV 앞에 두 후보가 당당히 서서 왜 자신이 박 후보의 맞수가 돼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유권자의 선택을 구하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다. 새누리당 박 후보 측도 TV 토론에 적극 나서길 바란다. 야권 후보 단일화를 빌미로 TV 토론을 외면한다면 결국 손해는 박 후보가 지게 될 것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유독 이번 대선에서 TV 토론이 실종된 직접적 요인은 민주통합당 문재인·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문제다. 두 후보 중 누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맞수가 될 것인지, 링 위에 오를 선수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마땅한 토론 구도가 짜이지 못하고 있는 점이 제약 요소다. 그러나 박 후보 측 주장대로 세 후보 간 합동토론이 박근혜 대 문재인·안철수의 1대2 구도가 돼 균형이 맞지 않다면 각자 개별토론으로 대체하면 될 일이다. 그런 점에서 문·안 두 후보에 대한 토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 새누리당 박 후보 측이나, 이로 인해 추첨으로 순서를 결정하려다 13일로 예정됐던 토론일정 자체를 유보시킨 KBS 측의 행태 모두 옹색하기 짝이 없다고 할 것이다.
세 후보를 상대로 한 TV 토론이 여의치 않다면 문·안 두 후보를 상대로 한 TV 토론이라도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두 후보가 오늘 만나 단일화 논의에 본격 착수하기로 한 만큼 TV 토론 역시 더 이상 늦출 이유가 없다. 두 후보의 단일화 논의가 밀실 야합이라는 비난을 면하려면 향후 단일화 논의 전반이 투명해야 함은 말할 나위가 없거니와 이와 더불어 TV 앞에 두 후보가 당당히 서서 왜 자신이 박 후보의 맞수가 돼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유권자의 선택을 구하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다. 새누리당 박 후보 측도 TV 토론에 적극 나서길 바란다. 야권 후보 단일화를 빌미로 TV 토론을 외면한다면 결국 손해는 박 후보가 지게 될 것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2012-11-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