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파문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채 검찰총장의 혼외 아들 의혹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청와대의 퇴진 압력설 또한 불법사찰 논란까지 얹어지면서 확산일로에 들어섰다. 이런 가운데 채 총장은 사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제부터 휴가에 들어갔다. 법무부가 그에 대한 감찰에 나섰으나 그는 청와대의 검찰 흔들기 의혹을 주장하며 일체의 감찰에 응하지 않겠다며 맞서고 있다. 검찰 내부의 혼란은 말할 것 없고, 정치권까지 채 총장을 사이에 두고 네 편 내 편으로 갈려 연일 드잡이에 여념이 없다.
파문은 유감스럽게도 장기전에 들어섰다. 청와대가 혼외 아들 의혹의 진상이 가려지기 전엔 채 총장 사표를 수리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이상 객관적 조사를 통한 실체 규명이 이뤄지기 전엔 풀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엄중한 국면이다. 수사 당국의 총수가 의혹과 갈등에 휘말려 제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검찰 조직 전체가 동요하는 작금의 현실은 어떤 형태로든 빨리 수습돼야 한다.
무엇보다 채 총장 혼외 아들 의혹의 실체 규명이 급선무다. 경우의 수는 두 가지, 혼외 아들이 있느냐 없느냐와 채 총장의 발언이 진실이냐, 거짓이냐일 것이다. 채 총장에 이어 혼외 아들의 어머니인 임모씨가 편지를 통해 사실관계를 부인했으나 의혹을 키우는 결과만 낳았다. 채 총장 또한 의혹을 보도한 언론사에 대한 법적 대응을 차일피일 미루더니 그제는 총장직에서 물러난 뒤 소송하겠다고 밝히는 등 행보가 석연치 않다. 대체 사실이 아니라면 왜 해당 언론사에 대한 법적 대응을 미루는지 국민들은 의아스럽다. 이 사안은 이제 혼외 아들 유무를 넘어 채 총장 발언의 진실 여부로 초점이 넓어졌다. 혹여라도 궁지를 벗어날 요량으로 정치 외압 운운하며 거짓을 말했다면 이는 혼외 아들 여부와 별개로 또 하나의 도덕적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떳떳하다면 채 총장은 즉각 법무부의 감찰에 적극 응해 실체 규명에 협조하는 것이 마땅하다.
퇴진 압력설 또한 명백히 가려야 한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그제 국회 법사위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채 총장 보도가 처음 나온 6일 이전부터 채 총장을 사찰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중희 민정비서관과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 등을 사찰에 간여한 인물로 지목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즉각 “보도 이후 사실관계 파악을 위한 활동이었다”고 부인했으나 ‘채동욱 퇴진론’이 여권 내에서 나돈 정황 등을 감안하면 이 또한 명쾌하지 않다. 필요하다면 법사위 등 국회 차원의 면밀한 진상조사도 검토할 일이다. 채 총장 또한 외압을 받았다면 그 실체를 낱낱이 밝히는 게 온당하다.
채동욱 파문 수습의 요체는 진실이다. 관계된 모든 인사들의 엄정하고 현명한 대응을 기대한다.
파문은 유감스럽게도 장기전에 들어섰다. 청와대가 혼외 아들 의혹의 진상이 가려지기 전엔 채 총장 사표를 수리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이상 객관적 조사를 통한 실체 규명이 이뤄지기 전엔 풀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엄중한 국면이다. 수사 당국의 총수가 의혹과 갈등에 휘말려 제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검찰 조직 전체가 동요하는 작금의 현실은 어떤 형태로든 빨리 수습돼야 한다.
무엇보다 채 총장 혼외 아들 의혹의 실체 규명이 급선무다. 경우의 수는 두 가지, 혼외 아들이 있느냐 없느냐와 채 총장의 발언이 진실이냐, 거짓이냐일 것이다. 채 총장에 이어 혼외 아들의 어머니인 임모씨가 편지를 통해 사실관계를 부인했으나 의혹을 키우는 결과만 낳았다. 채 총장 또한 의혹을 보도한 언론사에 대한 법적 대응을 차일피일 미루더니 그제는 총장직에서 물러난 뒤 소송하겠다고 밝히는 등 행보가 석연치 않다. 대체 사실이 아니라면 왜 해당 언론사에 대한 법적 대응을 미루는지 국민들은 의아스럽다. 이 사안은 이제 혼외 아들 유무를 넘어 채 총장 발언의 진실 여부로 초점이 넓어졌다. 혹여라도 궁지를 벗어날 요량으로 정치 외압 운운하며 거짓을 말했다면 이는 혼외 아들 여부와 별개로 또 하나의 도덕적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떳떳하다면 채 총장은 즉각 법무부의 감찰에 적극 응해 실체 규명에 협조하는 것이 마땅하다.
퇴진 압력설 또한 명백히 가려야 한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그제 국회 법사위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채 총장 보도가 처음 나온 6일 이전부터 채 총장을 사찰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중희 민정비서관과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 등을 사찰에 간여한 인물로 지목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즉각 “보도 이후 사실관계 파악을 위한 활동이었다”고 부인했으나 ‘채동욱 퇴진론’이 여권 내에서 나돈 정황 등을 감안하면 이 또한 명쾌하지 않다. 필요하다면 법사위 등 국회 차원의 면밀한 진상조사도 검토할 일이다. 채 총장 또한 외압을 받았다면 그 실체를 낱낱이 밝히는 게 온당하다.
채동욱 파문 수습의 요체는 진실이다. 관계된 모든 인사들의 엄정하고 현명한 대응을 기대한다.
2013-09-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