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숨바꼭질/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숨바꼭질/탐조인·수의사

입력 2023-07-05 00:53
수정 2023-07-05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 6. 경기 파주시의 한 논에서 주변을 둘러보는 수컷 뜸부기.
2021. 6. 경기 파주시의 한 논에서 주변을 둘러보는 수컷 뜸부기.
동요 ‘오빠 생각’에 나오는 ‘논에서 우는 뜸부기’는 이제 소리를 듣기 어려워졌다. 논 자체가 줄기도 했지만, 농약 사용과 개발 광풍 때문에 논이 있어도 뜸부기는 보기도 어렵고 소리도 듣기 어려운 ‘귀하신’ 몸이 됐다.

뜸부기는 5월에 날아와서 번식하고 9월에 월동지로 가는 여름철새다. 모내기 전에는 논 주변의 야산에서 지내다가 모내기 후 모가 좀 자라 몸을 숨길 정도가 되면 논으로 이동한다. 모가 너무 작으면 뜸부기가 가지 않는다. 모가 많이 자라야 몸이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뜸부기를 볼 수 있는 시기는 초여름의 1~2주 정도다. 그런데 그때는 태양이 너무 뜨겁다.

처음 뜸부기를 보러 간 날은 너무 뜨거웠다. 모 사이를 샅샅이 살피는 게 무척 힘들어 뜸부기를 찾을 의욕이 금방 녹아 버렸다. 일주일 뒤 다시 갔을 때는 뜸부기가 모 사이를 휙 지나가는 찰나 꽁지만 간신히 볼 수 있었다.

뜸부기와의 짧은 만남이 아쉬워서 그다음 해에는 혼자 자전거를 타고 뜸부기를 찾으러 갔다. 잠시 자전거를 세웠을 때 논두렁 위로 빨간 볏이 보여 순간 심장이 쿵 내려앉는 것 같았다. 뜸부기와의 사이가 너무 가까웠는지 고개를 쭉 뺀 수컷 뜸부기가 고개를 돌려 나를 보고는 날아가 버렸다. 그날 뜸부기가 날아간 방향을 따라 논 주변을 돌고 돌았지만 더이상 마주치지 못했다.
이미지 확대
주인 탐조인·수의사
주인 탐조인·수의사
다음번에는 새벽에 차를 타고 갔다. 뜸부기의 ‘뜸뜸’ 소리가 나면 좋을 텐데 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대체 뜸부기는 어디에 있을까 고민하며 논 여기저기를 뚫어져라 쳐다보며 돌다가 드디어 뜸부기의 검은 몸과 빨간 볏을 마주쳤다.

자전거로 가서 만났을 때만큼 가까운 거리였는데도 차 안에 있어서 그랬는지 그때처럼 경계를 많이 하지 않았다. 곧 모 사이로 들어가긴 했지만.

매해 6월은 뜸부기를 보러 가야 하는 시기다. 여기저기서 뜸부기 사진이 올라온다.

밖에 잠시 서 있기도 힘들어진 기온을 보니 곧 뜸부기철 마감과 함께 새 보는 철도 당분간 중단될 것이다. 야외에서 하는 새 보기 활동의 특성상 여름은 너무 뜨겁고, 숲에는 모기 등 벌레가 너무 많으니까. 뜸부기와의 숨바꼭질은 탐조 시즌 오프 의식이다.
2023-07-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