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성직뉴의 공장 내부 모습이 담긴 매일신보 1918년 4월 23일자 광고.
1912년 5월 주식회사 경성직뉴의 사장이 된 윤치소는 윤보선 전 대통령의 아버지이자 이승만 대통령 비서실장과 초대 내무장관을 지낸 윤치영의 형이며 귀족원 의원으로 친일 활동을 했던 윤치호의 종제(從弟)다. 윤치소의 아버지 윤영렬은 구한말 내무 참의와 안성군수 등을 지낸 관료였다. 윤치소는 이재(理財)와 경영에 밝아 일찍이 여러 사업에 손대 큰돈을 벌었다고 한다. 1909년 서울 종로에 ‘혁신점’이라는 제화점을 열었고 대한천일은행 감사, 분원자기 감사, 광업주식회사 사장을 지냈다.
경성직뉴의 경영 상태는 대체로 좋았다. 서울 전체 끈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했던 1917년에 직공이 500여명에 이르렀고, 직뉴기를 400여대 보유하고 있었으며, 상당한 이익을 냈다고 한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으로 닥친 경제 불황과 양복을 입고 구두를 신는 서양 복식의 도입으로 그 이후 경영난에 빠진 것으로 보인다. 1917년에 경성직뉴는 경성방직의 설립자인 김성수에게 경영권이 넘어갔다. 윤치소는 회사 경영으로 번 돈을 농업에 투자하고 토지를 대량 매입했다. 윤치소가 보유한 땅은 200만평에 가까웠는데 윤보선이 광복 후 장안의 10대 지주라는 말을 들은 것은 부친의 덕이었다.
김성수는 1918년 경성직뉴에 신식 직기를 도입해 모시와 면포를 생산했다. 1922년에는 고무 제품을 생산하는 등 제품 다양화를 꾀했고, 1925년에는 회사명을 중앙상공주식회사로 바꿨다가 1944년에 경성직뉴를 경성방직에 합병했다. 공장 내부 사진을 보여 주면서 증축 소식을 전한 광고는 김성수가 경성직뉴를 인수한 다음해 게재한 것이다. 경성방직은 현재 경방그룹으로 이어지고 있다. 김성수의 여동생과 결혼한 고 김용완 전 명예회장이 경영권을 넘겨받았고, 현재 그의 두 손자인 김준·김담 형제가 그룹을 이끌고 있다.
2020-08-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