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인도의 사례로 보는 ‘금수저’ 현상/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글로벌 시대] 인도의 사례로 보는 ‘금수저’ 현상/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입력 2016-02-21 23:08
수정 2016-02-22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지난해부터 ‘금수저’, ‘흙수저’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다. 일종의 사회풍자로 거기엔 기회균등이 박탈된 젊은이들의 깊은 자조와 절망이 들어 있다. 금수저는 부모의 재력과 능력으로 풍족하게 살거나 비교적 쉽게 성공 가도로 들어가는 젊은이들을 지칭하는 반면에 이른바 흙수저는 좋은 배경에서 태어나지 못해 아무런 사회적 자본을 갖지 못한 채 금수저들과 경쟁해야 하는 계층을 지칭한다.

우리 사회의 불평등과 갈등의 일면을 드러내는 이런 표현을 언어의 유희라고 가볍게 웃어넘길 순 없다. 가족주의와 지연, 학연 등 연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우리 현실에서 동일한 출발선에서 시작하지 못하는 사회적 약자들이 전자와 대등하게 겨룰 수 있는 사회적 장치까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건 희망과 동기 부여를 박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꿈이 없는 젊은이들이 미래에 무엇을 이루겠는가.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로 불리며 선진국 못지않게 민주주의를 일궈온 인도의 사례를 통해 이런 경향을 들여다보자. 인도는 불평등이 기반인 식민통치를 마감하고 홀로 서면서 모든 국민이 법 앞에 평등하고 교육과 기회의 균등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이루겠다고 천명했다. 하지만 중단 없는 보통선거를 실시하며 70년간 민주주의를 지켜온 인도에서도 능력주의와 부모의 부, 권력을 세습하는 신봉건주의의 갈등이 키를 키운다.

2004년 4월 12일 자 한 시사주간지는 정치인 부모의 후광으로 대를 이어 정치에 입문한 세습정치의 사례가 전국에서 100건이 넘는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현상은 거의 모든 지방에서 볼 수 있었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2014년의 한 통계를 보면, 40세 미만 하원의원의 60%가 유명 정치인의 후손이었고, 30세 미만의 의원은 세습의 비율이 100%에 이르렀다. 나이가 많은 의원일수록 세습의 비율이 낮았다. 시간이 갈수록 금수저 정치인이 증가하는 것이다.

가장 유명한 사례는 초대 총리를 지낸 네루와 그의 딸 인디라 간디, 네루의 손자 라지브 간디가 모두 총리를 지낸 것이다. 정치 세습은 지금도 큰 영향력을 가진 라지브 간디의 아내 소냐 간디, 오래전부터 미래의 어느 날에 총리가 될 것으로 여겨지는 그의 아들 라훌 간디로 이어진다. 각 지방의 사정도 비슷해서 아버지의 명성을 잇거나 남편의 자리를 물려받은 금수저 주수상들과 주의원들이 수두룩하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지의 세계인 영화계에서 더욱 심하다. 볼리우드의 대스타를 부모로 둔 아들과 딸들이 다시 유명배우로 자리매김한 사례는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이렇게 정치인이나 영화배우의 대물림이 용이한 건 경제력과 네트워크, 인지도와 언론의 조명 등 여러 면에서 그들이 유리한 입장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평등한 민주사회에서 개천 출신의 ‘용’이 나오지 않는 불평등의 역설이 생겨난다. 인도보단 덜 뚜렷하지만, 우리나라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행인 건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를 통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어느 정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보통선거란 금수저든 흙수저든 모두 1인 1표의 권리만 갖기 때문에 불리한 좌표를 차지하는 다수의 유권자가 금수저의 위상과 영향력이 지속 가능한 세상이 되지 않도록 한 표를 행사하는 것이다. 곧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여야 모두 공천룰을 갖고 주류, 비주류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선거권뿐 아니라 피선거권의 기회가 공정한지도 따져볼 때다.
2016-02-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