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초가을의 몰운대/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초가을의 몰운대/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8-09-06 17:30
수정 2018-09-06 18: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녘 바다는 마지막 땡볕 속에 나지막한 울음을 토하고 있다. 구름에 가리면 보이지 않는다는 몰운대(沒雲臺). “세상 먼지 낀 기운이 저절로 드물어지는 곳에 왔도다.”(人世塵?到自稀)

익어 가는 갈댓잎은 자박자박하는 해풍에도 못 이기는 척 휘청거린다. 가을꽃 선홍빛은 후두둑 떨어진 빗방울에 찬란하게 붉어진다. 너울도 습기를 먹고 남은 시간이 아까운 듯 윤기를 낸다. 황록의 들판에 가을 햇살이 다사롭다.

아, 몰운대의 일몰. 애태우는 해는 느릿느릿 걸음을 재촉한다. 바다도 마음도 붉은 아크릴을 뿌린 듯 온통 물이 든다. 어둠이 깃든다. 소쩍새 울음 들릴 듯한 아스라한 밤. 풀꽃들이 서걱거린다.

세상이 시리도록 아름다워 보이는 것도 가을의 힘인가 보다. 창공의 구름에 눈길을 주면 몸마저 두둥실 떠 날아다니는 듯하다. 주변을 둘러보지 못하고 멍한 일상을 살았던 건 게으름 탓일 게다. 아니면 너무나 무심했는지 모른다.

지친 여름이 물러가고 있다. 그러곤 뒤따라온 가을. 늦은 밤 창을 열면 시린 바람이 올드팝 운율처럼 속살거린다. 열하(熱夏) 끝의 서늘함은 엔도르핀처럼 기운을 불끈불끈 솟아나게 한다. 잠마저 잊게 하는 이즈음의 느낌은 대체할 수 없는 에너지가 있다.

sonsj@seoul.co.kr
2018-09-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