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차 내리는 시간/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차 내리는 시간/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1-04-18 20:26
수정 2021-04-19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루를 정리하는 저녁 시간, 누군가는 실패를 곱씹으며 남몰래 눈물 흘릴 테고, 누군가는 성공의 기쁨을 되새기며 미소를 지을 것이다. 이것저것 다 필요 없다는 듯 그저 고단한 육신을 침대에 뉘이고, 힘겹게 하루를 마무리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요즘에는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에 일기 쓰듯 사진과 함께 하루를 담는 이들도 많다.

코로나19로 인해 사적인 만남을 줄이면서 귀가시간이 빨라진 탓에 하루를 반추하며 조용히 시간을 보내는 날이 많아졌다. 종종 차를 우려내 음미하는데 차를 내리는 10~20여분이 그렇게 소중할 수 없다. 팔팔 끓어올랐던 물을 아주 조금 식힌 후 찻잎을 넣은 자사호에 부어 2~3차례 씻어내면 비로소 바짝 말라 있던 찻잎이 깨어난다. 찻잎으로선 정지돼 있던 시간이 다시 움직이는 셈이다.

다람쥐 쳇바퀴 도는 것 같은 똑같은 일상이어도 차를 내리는 시간만큼은 언제나 색다르다. 찻잎이 깨어나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자면 엉킨 실타래처럼 뭉쳐 있던 숱한 고민도 눈 녹듯 사라지곤 한다. 찻잔을 두 손으로 받쳐 들고 조금씩 음미하면서 오늘을 반성하고 내일을 계획해 본다. 내일은 오늘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희망이 선물처럼 따라온다. 차를 내리는 시간, 그렇게 소중할 수 없다.

stinger@seoul.co.kr
2021-04-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