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전등사/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전등사/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1-11-02 20:34
수정 2021-11-03 02: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화도(江華島), 강(江)을 끼고 있는 아름다운(華) 고을의 의미가 있다. 삼국시대 한강 패권의 교두보였다. 고려 때는 39년간 항몽 기지로, 구한말엔 서양세력과 처음으로 맞붙었던 역사의 땅이기도 하다. 단군 왕검이 제사를 지냈던 마니산 북동쪽 끝에 위치한 정족산, 1600년 전 이곳에 전등사가 터를 잡았다.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입한 병인양요 당시 조선 군대가 이곳을 항전 기지로 삼았던 곳이기도 하다.

산성으로 둘러싸인 사찰 주변은 형형색색의 단풍이 아름답다. 수령 700년이 넘은 은행나무가 터줏대감처럼 지키고 있고 뒤쪽 너른 터에는 죽림다원으로 불리는 고풍스런 카페가 눈길을 끈다. 흩날리는 낙엽과 커피 한 잔이 아주 어울리는 곳이다.

사찰 옆 작은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면 특별한 기와 건물이 있다. 조선왕조실록 등 주요 서적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다. 조선의 역사와 정신을 안전하게 보관할 최적의 장소이자 호국 도량으로서의 역할을 해 온 전등사의 역사적 의미가 담겨 있다. 외세로부터 역사를 지키겠다는 간절한 마음들이 전해진다. 강화도는 여러 번 찾았지만 전등사의 아름다움에 정신을 빼앗긴 것은 처음이다. 만추의 길목에서 의미 있는 여행이었다.

2021-11-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