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주바일과 K건설/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주바일과 K건설/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3-06-27 00:37
수정 2023-06-27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주바일은 사우디아라비아 동쪽에 있는 항구도시다. 평범했던 어촌 마을에 산업화 바람이 몰아닥친 것은 1970년대부터다.

사우디 정부는 이곳에 대규모 항구를 구상했다. ‘20세기 최대 프로젝트’라 불렸던 주바일 산업항 입찰전의 시작이었다.

혈기 왕성했던 정주영 당시 현대건설 사장도 주바일에 눈독을 들였다. 영국·독일 등 쟁쟁한 유럽 기업의 벽을 넘으려면 결정적 한 방이 필요했다. 정주영은 비용 절감과 공기 단축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공사 실비 12억 달러보다 20% 이상 저렴한 금액(9억 3114만 달러)을 써 내면서도 완공을 6개월 앞당기겠다고 장담한 것이다. 모든 기자재를 값싼 한국서 배에 몽땅 실어 사우디로 실어 나르는 방법 등으로 정주영은 약속을 지켰다. 그런데 그가 처음 지시한 입찰가(8억 7000만 달러)는 더 낮았다.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싼 것 같아 실무 임원이 6000만 달러를 현장에서 더 얹어 써 냈는데 “실패하면 걸프만에 빠져 죽을 생각이었다”고 한 일화는 유명하다. 창업주도 샐러리맨도 회사를 내 몸처럼 여기던 시절이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도 수주전을 전폭 지원했다.

1976년의 주바일 신화는 그렇게 시작됐다. 공사 금액은 당시 환율로 4600억원, 그해 정부 예산의 거의 절반이었다.

엊그제 현대건설이 주바일에서 또 하나의 역사를 썼다. 사우디 정부가 주바일 일대에 조성하는 석유화학 단지 공사를 따낸 것이다. 수주 금액만도 50억 달러(약 6조 5000억원)다. 우리 기업이 사우디에서 따낸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다. 정부와 기업의 ‘원팀’ 호흡도 47년 전 그랬던 것처럼 빛났다. 무엇보다 ‘21세기 최대 프로젝트’라는 1300조원 규모의 네옴시티 수주전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이라크 내부 사정으로 주춤했던 비스마야 신도시 프로젝트도 최근 다시 시동을 거는 양상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화건설이 들어가 있다. 대우건설은 총 5조원 규모의 이라크 알포 항만공사를 지난해 추가로 따냈다.

제2 중동 붐을 꿈꾸는 ‘K건설’이 최초 도약대였던 그곳 주바일에서 20세기와 21세기 최대 역사(役社)를 모두 손에 넣는 역사(歷史)적 순간을 기대해 본다. 정주영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귀에 어른거린다. “이봐, 해봤어?”
2023-06-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