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유럽 전체 혜택줘” “非유로존 英 자격 없다”
프랑스와 영국이 ‘금융허브’ 지위를 놓고 격돌했다.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비회원국인 영국 런던이 유로화 거래를 장악하고 있는 데 대해 딴죽을 걸자 영국 산업장관이 바로 반격에 나섰다고 AFP 등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크리스티앙 노이어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2일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로존에 속하지 않는 영국 런던의 금융가 ‘더 시티’가 금융허브 역할을 하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면서 “유로화 비즈니스는 유로존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프랑스를 방문 중이던 빈센트 케이블 영국 산업장관은 3일 “(노이어 총재의 발언은) 내가 프랑스 금융인들에게 들어온 것과 상당히 배치되는 것”이라면서 “그들은 영국의 강력한 금융산업이 유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고 응수했다.
케이블 장관은 또 수십만명의 프랑스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잡기 위해 영국으로 이주하는 사례를 들며 “런던이 유럽 전체에 혜택을 주고 있다. 이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는 노이어 총재가 유럽중앙은행(ECB)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정책위원회 내에서 발언권이 센 만큼, 금융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유럽 대륙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영국의 가장 큰 공포가 다시 살아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더 시티는 전 세계 유로화 거래의 40%를 취급하고 있다. 유로존 17개국에서 이뤄지고 있는 유로화 거래를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다. 하지만 최근 독일, 프랑스 주도로 은행감독기구 창설 논의가 한창인 만큼 은행동맹 설립도 가속화될 수 있어 영국의 입지 약화가 예상된다.
최고 금융도시로 올라서려는 주요국 간 기싸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에는 런던과 미국 뉴욕이 금융산업을 놓고 주도권 싸움을 벌였다. 당시 미국 금융감독당국이 바클레이스와 HSBC, 스탠다드차타드(SC) 등 영국 금융회사들의 부정행위를 잇따라 적발하자 영국 정계와 금융권은 “기업들을 더 시티에서 월스트리트로 옮기려는 속셈”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12-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