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에서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찬성과 반대를 놓고 시작한 페이스북 논쟁이 유혈극으로 번져 3명이 숨지는 사건이 벌어졌다.
4일(현지시간) 이집트 일간 알 아흐람에 따르면 전날 수도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65km 떨어진 샤르키야주 나일델타 마을에서 무르시 찬반 의견을 보이던 20대 청년 2명이 페이스북에서 논쟁을 벌였다.
그러다 28살의 한 청년이 무르시를 강하게 비판하자 무르시를 지지하는 22살의 학생이 이를 반박했다. 이 학생은 이집트 최대 이슬람조직 무슬림형제단 지역 회원의 아들이기도 하다.
격하게 논쟁하던 둘은 잠시 후 직접 대면했고 학생은 총기로 청년을 쏴 살해했다.
이 학생은 또 싸움을 말리던 시민 한 명의 목숨까지 앗아간 채 도주했다.
현지 주민은 이 사건 이후에도 경찰이 출동하지 않자 도망간 학생을 뒤쫓아가 폭행해 숨지게 했고 그의 집까지 불태웠다.
이집트에서 2년 전 시민혁명으로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이 붕괴한 이후 치안이 극도로 악화한 가운데 일부 지방 도시의 경우 경찰력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이집트 일간 알 아흐람에 따르면 전날 수도 카이로에서 북쪽으로 65km 떨어진 샤르키야주 나일델타 마을에서 무르시 찬반 의견을 보이던 20대 청년 2명이 페이스북에서 논쟁을 벌였다.
그러다 28살의 한 청년이 무르시를 강하게 비판하자 무르시를 지지하는 22살의 학생이 이를 반박했다. 이 학생은 이집트 최대 이슬람조직 무슬림형제단 지역 회원의 아들이기도 하다.
격하게 논쟁하던 둘은 잠시 후 직접 대면했고 학생은 총기로 청년을 쏴 살해했다.
이 학생은 또 싸움을 말리던 시민 한 명의 목숨까지 앗아간 채 도주했다.
현지 주민은 이 사건 이후에도 경찰이 출동하지 않자 도망간 학생을 뒤쫓아가 폭행해 숨지게 했고 그의 집까지 불태웠다.
이집트에서 2년 전 시민혁명으로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이 붕괴한 이후 치안이 극도로 악화한 가운데 일부 지방 도시의 경우 경찰력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