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카쉬 주한 대사 간담회
“2500년 전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었던 곳에서 자라던 보리수나무가 지난달 초 한국에 도착했습니다. 이 보리수나무가 바로 인도와 한국 관계의 살아 있는 상징입니다. 항상 푸르기를 기원합니다.”
비쉬누 프라카쉬 주한 인도대사
비쉬누 프라카쉬 주한 인도대사는 10일 대사관에서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보리수나무가 심어질 사찰이 빨리 결정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부처님과 관련된 보리수나무가 해외로 나간 것은 BC 250년경의 아소카왕 시대에 스리랑카로 이식된 것을 포함해 태국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다. 인도가 보물로 여기는 이 보리수나무는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을 당시 나무의 손자뻘이다. 원래 보리수나무는 오래전에 죽고 없다.
인도는 오는 15일부터 한국 관광객에 대해서는 입국 공항에서 비자를 발급하는 도착비자를 시행한다.
프라카쉬 대사는 “한국인 관광객이 인도 방문을 위해 1년에 18만건의 비자를 신청하는데 단 1건도 거절된 적이 없다”며 “도착비자는 사실상 무비자”라고 말했다. 인도의 도착비자는 일본, 싱가포르, 룩셈부르크 등 20여국에 대해 시행된다. 1년에 두 차례 발급하며 한번에 최장 30일까지 머무를 수 있다.
인도와 한국 기업인들이 참여하는 ‘최고경영자(CEO) 포럼’도 창설 중이다. CEO 포럼은 인도와 한국에서 분야별 대표 기업인이 나라별로 20명, 모두 40명으로 구성된다. 프라카쉬 대사는 “한국은 인도와 CEO 포럼이 창설된 세계 여섯 번째 나라”라며 “2010년 1월 발효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PA)을 한층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2014-04-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