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⅓이 이민자

미국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⅓이 이민자

입력 2014-06-06 00:00
수정 2014-06-06 1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미국인 가운데 3분의 1 이상이 이민자 출신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미국정책재단(NFAP)은 5일(현지시간) 화학, 의학, 물리학 분야에서 2000년 이후 노벨상을 받은 미국인 68명 가운데 24명이 이민자 출신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960년 이전 노벨상을 받은 이민자 출신 미국인은 화학상에서 1명, 의학상에서 9명, 물리학상에서 15명이었지만, 1960년 이후에는 각각 23명, 28명, 21명으로 증가했다.

지난 1965년 이민법 개정을 계기로 아시아 이민자가 급증했고, 1995년 이후 취업이민이 늘어나면서 이민자 출신 미국인의 노벨상 수상이 증가했다는 것이 정책재단의 분석이다.

재단은 이민자들의 이 같은 기여를 고려해 의회가 이민법 개혁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은 이민법을 개정해 1천100만 명에 달하는 불법 이민자가 시민권을 취득할 길을 우선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추가 불법 입국을 막을 조치를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박성연 서울시의원 “광장동 다목적체육관 건립 중투심 통과 환영…오랜 숙원사업 본궤도 올라”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광장동 다목적체육관 건립사업’이 최근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한 것과 관련해 “장기간 방치됐던 부지가 드디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게 됐다”며 환영의 뜻을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성연 의원의 공약이자 광진구민들의 숙원이었던 만큼, 체육·문화시설이 부족했던 광장동 지역에 국제규모의 다목적체육관과 환승주차장, 공원이 함께 들어서는 대규모 복합시설로 추진된다. 사업은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되며, 총사업비는 1870억원(전액 시비)이다. 연면적 약 3만 5290㎡, 지하 4층·지상 4층 규모로, 국제규모의 다목적체육관을 비롯해 시민 여가 공간인 친환경 공원과 인근 교통수요를 해소할 환승주차장이 포함된다. 박 의원은 “광장동 주민들은 수년간 해당 부지가 활용되지 못한 채 방치되는 모습을 지켜보며 큰 아쉬움을 느껴왔다”면서 “이번 중투심 통과는 인프라 확충이 아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문화체육특구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앞으로 설계공모, 공유재산심의 등 후속절차도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겠다”라며 “구민 여러분과 약속드린 공약이 현실화되는 모습을 끝까지 지
thumbnail - 박성연 서울시의원 “광장동 다목적체육관 건립 중투심 통과 환영…오랜 숙원사업 본궤도 올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