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부유해졌지만, 정신상태는 공허”<서방학자>

“중국인 부유해졌지만, 정신상태는 공허”<서방학자>

입력 2014-07-04 00:00
수정 2014-07-04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교ㆍ불교 중흥…기독교도, 공산당원 수에 필적”

중국은 30여년 간의 개혁ㆍ개방 결과로 부강해지면서 국제적인 위상이 높아지고 영향력도 확대됐지만 중국인의 정신세계는 오히려 공허해졌다는 주장이 서방학자에 의해 제기됐다.

베이징에 거주하며 미국 주간지 ‘뉴요커’에 칼럼을 기고하는 중국 전문가 이반 오스노스는 최근 출간한 서적에서 중국이 ‘굴기(堀起·우뚝 선다)’하는 과정에서 중국인의 정신세계가 공허해지고 가난한 지역과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도교와 불교, 그리고 각종 민간 신앙이 중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3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오스노스는 특히 중국에서 기독교도 수가 공산당원 수에 맞먹을 만한 6천만∼7천만명에 달해 당국의 간담을 서늘하게 있다고 주장했다고 VOA는 전했다.

그는 일부 간부를 포함한 상당수 공산당원들마저 각종 종교에 귀의하는 것은 중국 사회의 정신과 도덕ㆍ신앙이 “극도로 공허해진” 증거라면서 중국인들은 부유해졌지만 돈만으로는 아름다운 인생에 대한 갈망을 채울 수 없었다고 진단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 1979년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요구 시위’를 무력 진압한 후 ‘금전으로 자유를 살 수 있다’는 논리로 인민을 달래왔으나 실패했다는 것이다.

더욱이 전국적으론 여전히 궁핍한 지역이 많고 빈부 격차가 심해지는 상황에서 탐관들의 부패가 만연하면서 중국인들은 당국의 종교 탄압에도 ‘도덕ㆍ진리’를 부단히 추구하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공산당 내부에도 침투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후난(湖南)성의 종교인 주밍즈(朱明智)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때때로 반관반민의 체제 내 인사들이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격하곤 한다”고 털어놨다.

톈진(天津)의 기독교도인 왕펑(王峰)은 공산당원의 교회 예배 참가는 이미 공개된 비밀이라면서 신분을 숨긴 채 교회를 찾는 간부 당원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굴기’에는 ‘(사상적) 지도 원칙’이 결여됐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VOA는 전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하베이 맨스필드 교수는 중국인은 자국이 굴기한 데 대해 강한 자부심을 느끼면서도 막상 굴기에는 사상적 지도 원칙이 없다고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산주의는 이미 국가의 지도 원칙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 공산당원을 포함한 중국인들은 생명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일본 작가 무라카이 하루키(村上春樹)는 중국은 현재 정신ㆍ도덕이 공백상태이기 때문에 민중은 정부를 불신하면서 각종 종교와 신앙에 의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반(反)부패 드라이브를 강하게 거는 동시에 사상ㆍ의식 강화를 위한 조치에 나섰다고 VOA는 전했다.

시 주석을 핵심으로 한 새 지도부는 최근 발표한 이른바 ‘9호 문건’에서 서방의 민주 헌정(의회제)과 인권 등 보편적 가치관을 근절할 것을 지시했다.

중국 당국은 또 ‘동방의 예루살렘’으로 불리는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에서 교회와 십자가들을 철거한 데 이어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선 공무원과 학생, 교사들에게 이슬람의 단식성월인 라마단 참여를 금지해 종교 탄압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