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 ‘기대 이상 선전’…2분기 성장률 4.0%

미국경제 ‘기대 이상 선전’…2분기 성장률 4.0%

입력 2014-07-31 00:00
수정 2014-07-31 09: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장 예측 상회…1분기 성장률은 -2.1%로 0.8%포인트 상향

올해 1분기 혹한, 폭설 등 악천후에 갇혔던 미국 경제가 2분기 가계 소비 활성화, 기업 재고 증가 등에 힘입어 기대 이상으로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무부는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0%(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 평균(3.0%)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1분기 성장률은 애초 발표한 -2.9%에서 -2.1%로 상향 수정됐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미국 GDP는 0.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날 나온 2분기 성장률은 잠정치로, 상무부는 매분기 성장률을 잠정치→수정치→확정치로 나눠 발표한다.

전문가들은 올해 초 미국의 경제 활동이 한파, 폭설의 여파로 전반적으로 위축됐으나 2분기 이후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올해 연간 성장률이 2.0∼2.5%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GDP의 3분의 2 이상을 구성하는 소비 지출이 2분기 2.5%나 늘었다.

가계의 소비 지출은 1분기에는 1.2% 감소했었다.

특히 자동차나 가구, 가전제품 등 내구재 구매가 14%나 늘어 리세션(경기 후퇴)에서 회복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9년 3분기 이후 최대 폭 증가율을 보였다.

기업 재고는 1분기 352억달러에서 2분기 934억달러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이 부문이 1분기에는 GDP 성장률을 1.16%포인트 깎아 먹었으나 2분기에는 1.66%포인트 더했다.

기업 투자도 전분기 대비 5.9% 늘어 성장률에 0.9%포인트 기여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처럼 미국 경기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이날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월 350억달러인 양적완화 규모를 내달부터 250억달러로 100억달러 추가 축소하기로 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FOMC 회의에서 월 850억달러였던 3차 양적완화(QE3) 규모를 100억달러 줄이는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에 처음 착수한 데 이어 및 올해 들어서도 1월, 3월, 4월, 6월 회의에서 채권 매입액을 매번 100억달러씩 줄였다.

따라서 이번까지 여섯 차례 회의 연속으로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했다.

연준은 아울러 기준금리를 제로(0∼0.25%)에 가깝게 운용하는 초저금리 기조도 ‘상당기간’(for a considerable time) 이어가기로 했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면서 연준이 내년 중반으로 예상되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더 앞당길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미국 경기·고용 상황을 가늠할 또 다른 지표인 7월 실업률과 신규 일자리 창출 건수는 다음달 1일 발표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