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남부 아프리카 잠비아의 마이클 사타(77) 대통령이 유엔총회에 불참하자 그의 사망설이 나돌고 있다고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엔의 한 소식통은 뉴스위크에 사타 대통령이 이날 자신이 묵고 있던 뉴욕의 한 호텔에서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그가 호텔에서 미 국무부 의료진에 의해 치료를 받다가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전했다.
현지 경찰은 사타 대통령의 상태에 대해 아무런 정보를 갖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잠비아 대표단의 대변인은 그의 사망여부를 묻는 일부 기자들의 질문에 언급을 거부했다.
사망설은 그가 24일 밤 유엔총회에서 회원국 대표연설을 하기로 돼 있었음에도 총회장에 나타나지 않은 직후 나돌기 시작했다. 그는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다음으로 연설할 예정이었다.
총회 진행자는 메모를 전달받은 뒤 잠시 머뭇거리다가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를 다음 연사로 소개했다. 사타 대통령이 언제 연설을 할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앞서 아프리카와 관련된 보도를 전문적으로 싣는 웹사이트 ‘올아프리카닷컴’은 사타 대통령의 수행원 중에는 의사 6명이 포함돼 있으며, 그가 유엔총회 연설에 앞서 뉴욕 소재 슬로언케터링 암센터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사타 대통령은 장기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잠비아에서는 그의 건강을 둘러싼 억측이 무성했다.
지난 19일에는 부인의 권유로 하원에 출석, “나는 죽지 않았다”며 자신의 건재를 알렸으나 연설을 채 끝마치지도 않은 상태에서 “경청해줘서 고맙다. 전체 연설문은 의장에게 남기겠다”고 한 뒤 의회를 떠났다.
사타 대통령은 삼수 끝에 2011년 잠비아의 5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빈민옹호 정책을 써온 그는 자국 탄광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강력히 반대해왔다.
연합뉴스
유엔의 한 소식통은 뉴스위크에 사타 대통령이 이날 자신이 묵고 있던 뉴욕의 한 호텔에서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그가 호텔에서 미 국무부 의료진에 의해 치료를 받다가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전했다.
현지 경찰은 사타 대통령의 상태에 대해 아무런 정보를 갖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잠비아 대표단의 대변인은 그의 사망여부를 묻는 일부 기자들의 질문에 언급을 거부했다.
사망설은 그가 24일 밤 유엔총회에서 회원국 대표연설을 하기로 돼 있었음에도 총회장에 나타나지 않은 직후 나돌기 시작했다. 그는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다음으로 연설할 예정이었다.
총회 진행자는 메모를 전달받은 뒤 잠시 머뭇거리다가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를 다음 연사로 소개했다. 사타 대통령이 언제 연설을 할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앞서 아프리카와 관련된 보도를 전문적으로 싣는 웹사이트 ‘올아프리카닷컴’은 사타 대통령의 수행원 중에는 의사 6명이 포함돼 있으며, 그가 유엔총회 연설에 앞서 뉴욕 소재 슬로언케터링 암센터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사타 대통령은 장기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잠비아에서는 그의 건강을 둘러싼 억측이 무성했다.
지난 19일에는 부인의 권유로 하원에 출석, “나는 죽지 않았다”며 자신의 건재를 알렸으나 연설을 채 끝마치지도 않은 상태에서 “경청해줘서 고맙다. 전체 연설문은 의장에게 남기겠다”고 한 뒤 의회를 떠났다.
사타 대통령은 삼수 끝에 2011년 잠비아의 5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빈민옹호 정책을 써온 그는 자국 탄광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강력히 반대해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