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썩게 놔두자”…걸프서 생선 불매운동 확산

“그냥 썩게 놔두자”…걸프서 생선 불매운동 확산

입력 2015-08-24 20:22
수정 2015-08-24 2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격 급등에 SNS 중심으로 촉발

걸프 해역에 인접해 생선을 많이 먹는 지역에서 때아닌 생선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22일부터 나흘간 쿠웨이트에서 시작된 이 불매운동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동부 주(州)와 바레인까지 확산하고 있다.

중동 지역 소셜네트워크(SNS)를 중심으로 ‘그냥 썩게 놔두자’라는 구호로 번지는 이 불매운동은 주식 중 하나인 생선 가격이 이달 들어 30∼100% 오르면서 자생적으로 촉발됐다.

불매 기간으로 정한 나흘간 생선을 아예 사지 않으면 유통상들이 견디지 못하고 가격을 내릴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를 지지하는 소비자들은 생선 가격이 이렇게 갑자기 뛸 이유가 없다면서 일부 대형 외국 유통상의 사재기와 이익만을 좇아 지역 사회가 아닌 다른 나라로 생선을 대량 수출하는 행태를 가격 급등의 이유로 지목했다.

이들은 또 관계 당국이 이런 독과점 행위에 개입하라고 촉구했다.

아랍에미리트(UAE) 일간지 걸프뉴스는 쿠웨이트에서 불매운동 이틀만에 실제 생선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를 거뒀다고 23일 전했다.

나빌 알파델 쿠웨이트 의회 의원은 관련 부처가 생선을 독과점하는 유통상의 영업 허가를 취소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걸프지역 언론 GDN은 24일 “여름철 폭염으로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생선이 수온이 낮은 곳을 찾아 바닷속 깊숙이 내려가는 바람에 어황이 나빠져 생선 가격이 급등했다는 게 유통상의 해명”이라고 보도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 설계용역 진행상황 연이어 점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8일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와 관련해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들과 면담을 갖고, 설계 진행 상황 및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왕십리역 11번 출입구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를 동반한 보호자, 어르신 등 교통약자들이 오랜 기간 불편을 겪어온 구간이다. 구 의원은 2023년 타당성 조사 용역 예산 확보를 시작으로, 서울시 투자심사 통과 및 2024년 설계비 2억원 확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며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번 면담은 승강기 설치 설계가 확정된 이후 가진 세 번째 점검 자리로, 구 의원은 지난 3월, 5월에 이어 7월에도 연이어 사업 현황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과 확인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해당 사업은 2025년 4월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이 진행되는 중이다. 아울러 구 의원은 설계 진행 현황을 확인하기에 앞서 왕십리역 현장을 방문해 설치 예정 위치를 직접 살펴보고, 왕십리역 역장과의 면담을 통해 세부 추진 경과와 향후 공정 계획을 공유했다. 이날 구 의원은 “주민 여러분의 불편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왕십리역 11번 출입구 승강기 설치 설계용역 진행상황 연이어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