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러턴시, ‘日 눈치보기’에 거액 책임보험 요구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남쪽 한인 밀집지인 풀러턴 시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려던 한인 사회의 노력이 무산됐다.평화의 소녀상 건립 운동을 주도해온 가주한미포럼 김현정 사무국장은 25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풀러턴 시 당국과 박물관 이사회가 1년간 소녀상 건립을 미뤄온 데다 무리한 요구까지 해 소녀상 건립 운동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앞서 풀러턴 시 의회는 지난해 8월 풀러턴 박물관 센터에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승인하고 그 권한을 박물관 이사회에 넘긴 바 있다.
김 국장은 “시 당국은 결의안 통과 이후 1년간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소녀상 건립을 미뤄왔고, 박물관 이사회는 소녀상 건립에 200만 달러짜리 책임보험까지 요구해왔다”면서 건립 철회 배경을 밝혔다.
가주한미포럼에 따르면 박물관 이사회 측은 다음 달 5일부터 2개월간 ‘잊혀진 얼굴: 2차 세계대전 종군 위안부’ 전시회 개최를 앞두고 평화의 소녀상의 건립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고 사전 대여를 요청했다.
심지어 소녀상 건립을 위해 풀러턴 시 전체를 포함하는 200만 달러 상당의 일반 책임보험까지 요구해왔다는 것.
이에 가주한미포럼은 “소녀상 기부를 철회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시 의회와 박물관 이사회 측에 전달했고, 시 당국은 지난 10일 공문을 통해 “소녀상 건립 철회 의사를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인사회에서는 풀러턴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무산된 것은 최근 미국-일본 간 밀월관계 분위기 속에 일본 측의 집요한 방해공작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실제로 풀러턴 시의회가 지난해 8월 연방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과 평화의 소녀상 건립 지지안을 잇따라 의결하자, 해리 노치 일본 LA총영사가 플러턴 시장을 직접 찾아 반대 의사를 전달했다.
김 국장은 “노치 일본 LA총영사는 이후에도 풀러턴 시장과 시 매니저를 만났으며, 일본 우익 시민단체들도 소녀상 건립 반대를 위해 시 정부와 의회, 박물관 이사회를 상대로 로비를 해왔다”고 했다.
한인사회에서는 일본 총영사관이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반대하며 풀러턴 시와의 교류사업 등 회유책을 제시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일본 측이 이처럼 플러턴 소녀상 건립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캘리포니아에서 글렌데일에 이어 플러턴에 소녀상이 세워질 경우 향후 다른 지역에서도 소녀상 건립을 막을 명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글렌데일과 LA에 거주하는 일본계 극우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2월 글렌데일시가 세운 소녀상이 “미국 연방정부의 외교권한을 침해한 헌법 위반”이라며 소송을 제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평화의 소녀상은 현재 미국에서 캘리포니아 주 글렌데일와 미시간 주 사우스필드 등 2곳에 세워져있다. 시카고에서도 한인회를 주축으로 소녀상 건립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