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미 항공우주국(NASA)
사각형, 십자, 선, 원 등 총 5개의 이들 거대한 지상화는 각각이 축구장 몇 개를 합쳐 놓은 크기로 공중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약 8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미 항공우주국(NASA)
그는 카자흐스탄의 고고학자들에게 이것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물었지만, 대답은 그들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미 항공우주국(NASA)
이곳에 언덕과 도랑 등 최소 260여개의 토목공사 흔적으로 이뤄진 거대 지상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난해 이스탄불에서 열린 고고학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위성사진을 제공한 NASA의 콤프턴 터커는 “이런 것을 본 적이 없다”며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질병을 연구하던 중 지난해 학회 발표를 관심 있게 지켜본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의 로널드 라포트 명예교수는 데이를 찾아내 사진과 서류들을 보고 투르게이 지상화가 진짜이며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두 사람은 카자흐스탄 항공우주국에 사진 촬영을 요청하고, 유네스코에 긴급 보호를 요청해야 한다고 지역 당국을 압박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데이는 비옥한 대초원이 사냥터를 찾던 석기 시대 부족들의 목적지였다며, 기원전 7천∼5천 년 전 번성했던 마한드자르 문화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과학자들은 유목 민족이 한 장소에 머물며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었다는 데 대해 의구심을 표했다.
하지만 캐나다 위니펙 대학의 고고학자인 페르시스 클락슨은 투르게이 지상화나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지상화로 인해 초기 유목민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