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카자흐스탄 거대 지상화 위성사진 공개…8천년 전 것 추정

나사, 카자흐스탄 거대 지상화 위성사진 공개…8천년 전 것 추정

입력 2015-10-31 22:19
수정 2015-10-31 2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 북부 투르게이 대초원에 있는 고대의 거대한 지상화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690㎞ 상공에서 촬영한 위성사진이 공개됐다.

사각형, 십자, 선, 원 등 총 5개의 이들 거대한 지상화는 각각이 축구장 몇 개를 합쳐 놓은 크기로 공중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약 8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의 경제학자인 드미트리 데이(44)는 2007년 피라미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본 뒤, 다른 곳에도 피라미드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구글 어스를 통해 자신이 사는 코스타나이 인근을 살펴보다 이 지상화를 처음 발견했다.

그는 카자흐스탄의 고고학자들에게 이것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물었지만, 대답은 그들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데이는 고고학자들과 현장을 찾았지만, 지상에서는 그것의 모양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고 땅을 파도 나오는 것은 없었다.

이곳에 언덕과 도랑 등 최소 260여개의 토목공사 흔적으로 이뤄진 거대 지상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난해 이스탄불에서 열린 고고학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위성사진을 제공한 NASA의 콤프턴 터커는 “이런 것을 본 적이 없다”며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거대 지상화.
미 항공우주국(NASA)
데이는 인터뷰에서 투르게이 지상화가 외계인이나 나치와 관련이 있다는 추측들을 일축하면서, 높은 곳에 직선으로 그려진 이 선들이 아침 해의 움직임을 추적한 관측소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카자흐스탄에서 질병을 연구하던 중 지난해 학회 발표를 관심 있게 지켜본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의 로널드 라포트 명예교수는 데이를 찾아내 사진과 서류들을 보고 투르게이 지상화가 진짜이며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두 사람은 카자흐스탄 항공우주국에 사진 촬영을 요청하고, 유네스코에 긴급 보호를 요청해야 한다고 지역 당국을 압박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데이는 비옥한 대초원이 사냥터를 찾던 석기 시대 부족들의 목적지였다며, 기원전 7천∼5천 년 전 번성했던 마한드자르 문화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과학자들은 유목 민족이 한 장소에 머물며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었다는 데 대해 의구심을 표했다.

하지만 캐나다 위니펙 대학의 고고학자인 페르시스 클락슨은 투르게이 지상화나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지상화로 인해 초기 유목민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