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러 정교회 수장 1천년만에 첫 만남갖기로…‘역사적 화해’(종합2보)

교황-러 정교회 수장 1천년만에 첫 만남갖기로…‘역사적 화해’(종합2보)

입력 2016-02-06 09:52
수정 2016-02-06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1세기 동·서방 교회 분열 후 최초로 오는 12일 쿠바에서 회동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중재 …NYT “교황, 중국방문도 검토”

프란치스코 교황과 러시아 정교회 키릴 총대주교가 1천년 만에 처음으로 만나 역사적인 화해의 장을 연다.

5일(현지시간) 바티칸과 러시아 정교회에 따르면 교황과 키릴 총대주교는 오는 12일 쿠바에서 11세기 교회 분열 이후 최초로 만날 예정이다.

교황은 멕시코 방문길에 쿠바 수도 아바나의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에 들른다. 키릴 총대주교는 이달 11∼22일 쿠바, 파라과이, 칠레, 브라질 등 라틴 아메리카를 방문할 예정이다.

양 교회 수장은 쿠바 수도 아바나의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에서 2시간가량 대화를 나누고 두 교회 관계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한다. 교황은 멕시코 방문길에 쿠바를 들르고, 키릴 총대주교는 이달 11∼22일 쿠바, 파라과이, 칠레,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를 순방할 예정이다.

이들은 또 중동에서 벌어지는 기독교인 암살과 박해를 중단하도록 함께 호소할 예정이다.

역대 교황들이 터키를 방문해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를 만난 적은 있지만 정교회 ‘실세’ 격인 러시아 정교회 수장과 대면하는 것은 1054년 교회 분열 후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전임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나 베네딕토 16세도 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와의 만남을 추진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바티칸 교황청의 페데리코 롬바르디 대변인은 역사적인 이번 만남을 성사시키기 위해 “최소 2년 동안 관련 논의가 오갔다”고 말했다.

동방 정교회는 로마 가톨릭과 결별한 뒤 동유럽과 러시아 등지를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그리스 정교회와 러시아 정교회 등 지역별 종파를 갖고 있다. 이중 러시아 정교회 신도 수는 전 세계 동방 정교회 신도 2억5천만명 중 절반 이상(1억6천500만 명)을 차지해 영향력이 남다르다.

러시아 정교회가 그동안 로마 교황의 최고 지위를 인정하지 않은 게 양 교회 관계개선에 걸림돌로 작용해왔고,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내전 문제로 더욱 긴장이 고조됐다.

이번 만남은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의 중재로 마련됐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카스트로 의장은 지난해 교황을 쿠바로 초청했으며, 교황은 미국과 쿠바의 관계 회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종교의 벽을 허무는 교황의 ‘통합 행보’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교황은 1951년 바티칸이 대만 정부를 인정하면서 외교 관계가 단절된 중국 방문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전에 중국을 방문하는 최초의 교황이 되고 싶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2014년 방한 당시에도 중국 영공을 지나면서 인사를 전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개인적인 서한을 주고받는 등 관계 개선 노력을 이어왔다.

2013년 즉위 이후 다른 종교와의 화해에 주력해 온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달 이탈리아 로마의 유대교 회당을 찾아 유대교에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다.

앞서 작년 11월에는 중아프리카공화국 수도 방기의 쿠두쿠 모스크를 방문해 이맘(이슬람 성직자)들과 함께 종교적 화합을 도모하는 행사에 참가하기도 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11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에서 금천구 소재 모아주택 2곳의 사업시행계획안이 모두 통과된 것에 대해 “더 높이 더 빠르게, 금천구 숙원사업이 드디어 본격 궤도에 올랐다”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금천구 모아주택 사업은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 2곳으로 총 1409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817세대가 공급된다. 12개동, 지하5층, 지상 35층 규모로 건설, 용적률 완화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을 모두 가져간다. 호암산 조망과 함께 최신 친환경 설계가 적용된 프리미엄 주거단지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지역은 국토교통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1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선정됐고, 기존 2개 구역을 통합하여 사업시행구역 면적을 확대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 온 만큼, 사업 안정성과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592세대를 공급한다. 7개 동, 지하 4층, 지상 20층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