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유출 방사능 물질 5년여 만에 태평양 넘어 미국으로

후쿠시마 원전 유출 방사능 물질 5년여 만에 태평양 넘어 미국으로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16-12-10 13:42
수정 2016-12-10 1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캐나다 연어서도 ‘세슘 134’가 처음 검출

이미지 확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유출 은폐 논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유출 은폐 논란 상공에서 촬영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전경.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에서 2011년 동일본 지진 때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5년여 만에 태평양을 건너 미국 서부 오리건주 해안에서 발견됐다.

또 캐나다의 연어에서도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 ‘세슘 134’가 처음으로 검출됐다.

9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의 지역신문인 스테이츠맨 저널과 AP 통신 등에 따르면 ‘세슘134’가 태평양 동부 해안인 오리건 주 틸라묵 만과 골드비치의 바닷물에서 처음으로 검출됐다고 우즈 홀 해양학 연구원이 발표했다.

반감기가 짧은 ‘세슘 134’는 후쿠시마 원전에서만 검출돼 ‘후쿠시마의 지문(指紋)’으로 불린다.

우즈 홀 연구원의 세슘 탐지 작업은 올해 1월과 2월 해수를 채취해 분석하는 절차를 밟았다. 검사 결과 두 곳의 바닷물에서는 모두 1㎥당 0.3베크렐의 ‘세슘134’가 검출됐다.

이 수치는 방사성 물질의 위험이 매우 낮은 것으로 인체나 환경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틸라묵 만은 시애틀에서 남서쪽으로 200㎞ 떨어져 있으며 후쿠시마까지 직선거리는 대략 지구 둘레(4만6250㎞)의 4분의 1보다 조금 모자란 1만㎞에 이른다.

아울러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 동위원소인 ‘세슘 137’ 역시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슘 137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뤄진 핵실험 탓에 태평양 해수에 늘 검출된다. 우즈 홀 해양연구원의 분석결과 ‘세슘 137’은 북동 태평양 지역에 상당히 집중돼 있었다.

이와 함께 ‘후쿠시마 인폼(InFORM)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연구팀은 캐나다 연어에서 ‘세슘 134’가 처음으로 검출됐다고 보고했다.

세슘이 검출된 연어는 지난해 여름 캐나다 오카나간 호에서 붙잡은 홍연어(sockeye salmon)로 ‘세슘 134’에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검출 수준이 캐나다 보건 기준보다 1000배 낮다고 빅토리아대 제이 컬린 연구원은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