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테러 일상화 불가피…“모두를 감시하지 않는한 언제든 발생”

유럽테러 일상화 불가피…“모두를 감시하지 않는한 언제든 발생”

입력 2016-12-25 12:21
수정 2016-12-25 1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용의자 감시해도 독립적 소규모 공격 막기 어려워

유럽에서 테러가 피할 수 없는 일상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우려가 최근 독일 베를린 테러를 통해 입증됐다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4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유럽 각국 정보기관들이 첩보 공유를 활성화하고 국경 통제를 강화해 테러를 예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베를린 참사로 근본적 한계가 조목조목 노출됐다는 설명이다.

이는 IS의 전략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유럽의 대테러 체제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WP는 지적했다.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지도자들은 추종자들에게 독립적인 공격을 수행하라고 촉구하는 쪽으로 지령을 바꿔가고 있다.

유럽 대테러 당국은 잠재적 테러 용의자 풀을 감시하는 기본 틀을 지닌 까닭에 대규모 공격과 달리 소규모 자생 테러에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제네바 안보정책센터(GCSP)의 모하마드-마무드 울드 모하메두 부소장은 “꼭 정보 당국의 실패 때문이 아니더라도 모두를 감시하기 시작하지 않는 한 테러는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용의자가 시장에 트럭을 몰고 돌진해 12명의 목숨을 앗아간 독일 ‘트럭 테러’도 고난도 계획이나 군수 지원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공격이다.

심지어 독일은 테러 용의자 아니스 암리(24)를 감시 명단에 올렸다가 테러 관련 혐의가 확인되지 않아 감시를 해제했다.

유럽은 국경이 개방돼 테러 용의자들이 보안 당국 관계자들보다 더 빠르고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든다는 점은 상황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실제로 암리도 테러를 저지른 뒤 독일을 벗어나 프랑스를 거쳐 이탈리아까지 약 800㎞를 이동했다.

전문가들은 유럽 당국의 정보 연계가 부족해 테러리스트들이 쉽게 감시망을 빠져나갈 수 있었다고도 지적한다.

각국의 대테러 정보는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흩어져 있어 조각을 맞춰 큰 그림을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범죄 기록 정보도 국경을 넘어 공유되지는 않는 때가 있다.

특히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재자의 중앙집권화를 막으려고 정보기관과 법 집행기관을 전국 곳곳에 분산시킨 전통적 취약점이 있기도 하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의 국제 안보연구 그룹장인 라파엘로 판투치는 “테러 위협을 다루는 연방 기관이 있는 미국처럼 유럽도 좀 더 대륙을 가로지르는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테러 일상화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 유럽연합(EU) 지도자들은 유럽에 드나드는 사람 대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국경 통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올해 초 벨기에 브뤼셀 테러 이후 EU 의회는 항공기 탑승자 데이터베이스 창설안을 승인해 2018년에 시행하기로 했다.

줄리언 킹 EU 안보담당 집행위원은 “테러 위험이 전혀 없는 ‘제로 리스크’(zero risk)는 절대 있을 수 없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테러 위험을 줄이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