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남 피살] ‘수사 혼선’ 주려 3개국 돌아 평양 복귀

[北 김정남 피살] ‘수사 혼선’ 주려 3개국 돌아 평양 복귀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2-20 23:00
수정 2017-02-21 0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이징 루트 피한 이유는

말레이 경찰 소재 파악 어렵게 北과 반대 방향의 비행기 이용
中 안 거친건 억류 우려한 듯

통상 말레이시아에서 북한으로 가는 경로는 쿠알라룸푸르에서 중국 베이징을 거쳐 고려항공기 등을 이용하게 된다. 김정남 암살의 몸통으로 지목된 리지현(33)·홍송학(34)·오종길(55)·리재남(57) 등 4명은 왜 가장 빨리 북한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이 노선을 택하지 않았을까?

이들은 말레이시아 일간 더스타 등에 따르면 사건 직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행 항공기를 탔으며, 이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범행 나흘 만인 17일쯤 평양에 도착했다. 말레이시아 중문지인 중국보(中國報)는 북한 국적의 남성 용의자들이 범행 이후 세 시간여 동안이나 공항 출국장 대기실에 머물렀고 세 시간 뒤인 13일 정오쯤 인도네시아 수라바야행 라이온에어 여객기에 올랐다고 전했다.

이후 두바이,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북한으로 돌아갔다는 내용은 더스타 등의 보도와 비슷하다. 로이터통신도 인도네시아 이민국 대변인을 인용, 이들이 범행 당일인 13일 오후 10시 20분쯤 에미레이트 항공으로 자카르타에서 두바이로 이동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이 우회노선을 택한 이유는 1차적으로는 ‘수사 혼선’을 노린 것으로 현지언론은 분석했다. 범행 현장으로부터 1~2시간 거리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로 일단 몸을 피한 뒤 북한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 비행기를 이용, 최소 1만 6000㎞에 달하는 우회 경로를 택하면서 말레이시아 수사당국은 이들의 소재파악에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을 거치지 않은 것은 혹시 범인들이 중국 정부에 억류될 가능성을 우려했을 수 있다. 중국 정보당국도 이 사건을 거의 실시간 파악했을 것으로 본다면, 이들이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 중국 당국이 이들을 붙잡아둘 수 있다.

중국으로서는 김정남 암살은 용납할 수 없는 사건이다. 이들은 북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이유가 없는 국가와 도시를 항로로 선택했을 수 있다.

비행기를 이용한 것은 최대한 ‘빠른 철수’ 방식으로서는 가장 적합한 선택으로 볼 수 있다. 두 명의 여성을 통해 수사 교란작전을 편 만큼 이들은 일정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7-02-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