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을 겨냥해 사이버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19일(현지시간) 북한이 지난 10년간 은밀하게 6천 명으로 추산되는 사이버 전사를 키웠다면서 이 같은 미국 보안 전문가들의 우려를 전했다.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 파이어아이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브라이스 볼랜드는 “북한은 많은 조직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는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프리실라 모리우치 전 미국 국가안보국(NSA) 동아태 사이버안보부장은 “혼란을 일으켜 한국의 이미지를 실추하려는 게 북한의 주요 목표”라면서 “북한이 사이버 영역에서 뭔가를 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안보소장도 “평창 동계올림픽이 사이버 공격의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같은 목소리를 냈다.
크로닌 소장은 “이것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를 필요가 있는 남한 경제에 타격을 주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면서 “단순히 화면에 북한 국기를 띄우는 것부터 통신과 교통망을 망가뜨리는 훨씬 더 치명적인 것까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북한이 올림픽을 앞두고 지난 5년간 보여준 것보다 더 나쁜 매우 심각한 행동을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크로닌 소장은 이어 “한국과 서구는 북한 해커들 따라잡기 게임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와 우방, 동맹국, 국제사회의 사이버 네트워크는 심지어 초보적인 공격에도 매우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19일(현지시간) 북한이 지난 10년간 은밀하게 6천 명으로 추산되는 사이버 전사를 키웠다면서 이 같은 미국 보안 전문가들의 우려를 전했다.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 파이어아이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브라이스 볼랜드는 “북한은 많은 조직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는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프리실라 모리우치 전 미국 국가안보국(NSA) 동아태 사이버안보부장은 “혼란을 일으켜 한국의 이미지를 실추하려는 게 북한의 주요 목표”라면서 “북한이 사이버 영역에서 뭔가를 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안보소장도 “평창 동계올림픽이 사이버 공격의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같은 목소리를 냈다.
크로닌 소장은 “이것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를 필요가 있는 남한 경제에 타격을 주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면서 “단순히 화면에 북한 국기를 띄우는 것부터 통신과 교통망을 망가뜨리는 훨씬 더 치명적인 것까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북한이 올림픽을 앞두고 지난 5년간 보여준 것보다 더 나쁜 매우 심각한 행동을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크로닌 소장은 이어 “한국과 서구는 북한 해커들 따라잡기 게임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와 우방, 동맹국, 국제사회의 사이버 네트워크는 심지어 초보적인 공격에도 매우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