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선명한 목성… 지구보다 큰 대적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진행해 온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목성의 초정밀 사진을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3중 필터 처리된 근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남·북극 대기 위에 형성된 붉은색 오로라와 적도 주변의 고리, 작은 위성(달) 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지구를 완전히 품고도 남을 만큼 넓은 목성 표면의 적갈색 소용돌이인 ‘대적반’은 빛을 반사해 흰색으로 보인다. NASA 제공·AP 연합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토록 선명한 목성… 지구보다 큰 대적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진행해 온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목성의 초정밀 사진을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3중 필터 처리된 근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남·북극 대기 위에 형성된 붉은색 오로라와 적도 주변의 고리, 작은 위성(달) 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지구를 완전히 품고도 남을 만큼 넓은 목성 표면의 적갈색 소용돌이인 ‘대적반’은 빛을 반사해 흰색으로 보인다. NASA 제공·AP 연합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진행해 온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목성의 초정밀 사진을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3중 필터 처리된 근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남·북극 대기 위에 형성된 붉은색 오로라와 적도 주변의 고리, 작은 위성(달) 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지구를 완전히 품고도 남을 만큼 넓은 목성 표면의 적갈색 소용돌이인 ‘대적반’은 빛을 반사해 흰색으로 보인다.
NASA 제공·AP 연합
2022-08-2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