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짜리 ‘라보엠’

반쪽짜리 ‘라보엠’

입력 2012-08-21 00:00
수정 2012-08-21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0억 투입에도 예매 저조…총 4회 중 2회 공연 취소

50억원의 제작비를 투입한 야외오페라 ‘라보엠’의 일부 공연이 취소됐다. 이 공연은 143년 역사의 프랑스 오랑주페스티벌 프로덕션을 국내에 처음 들여온 데다 ‘오페라의 여신’ 안젤라 게오르규(소프라노)와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의 첫 만남, 최고 57만원짜리 티켓 가격 등으로 화제를 모았었다.

공연기획사 ADL은 20일 “28, 30일, 9월 1, 2일 연세대 노천극장에서 네 차례 공연이 예정돼 있었지만, 더블캐스팅(주인공을 두 명씩 뽑아 번갈아 공연) 중 소프라노 피오렌자 체돌린스와 테너 마르첼로 조르다니의 공연 티켓이 잘 안 팔려 부득이하게 취소하기로 했다.”면서 “안젤라 게오르규(위)와 테너 비토리오 그리골로(아래)가 출연하는 28일과 9월 1일 공연은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ADL 관계자는 “체돌린스와 조르다니가 주인공 미미와 루돌포로 나오는 30일과 9월 2일 공연은 티켓이 10% 정도밖에 팔리지 않았다. 7000석의 연세대 노천극장을 휑하게 비우기도, 그렇다고 공짜 표를 뿌려 채우는 건 더더욱 말이 안 된다고 판단해 투자자들과 고심 끝에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대형 클래식 공연은 기업의 협찬·후원 없이 티켓 판매만으로는 손익분기점을 넘어서기 힘들다. 하지만 불황이 이어진 데다 여수엑스포와 런던올림픽 등 대형 이벤트가 겹치면서 지갑을 열 만한 기업들은 올해 문화행사 관련 예산을 이미 소진한 탓에 후원사를 구하지 못한 게 ‘라보엠’의 발목을 잡았다.

한편, 주최 측은 8월 30일과 9월 2일 티켓을 이미 예매한 이들에겐 전액 환불할 계획이다. 예매자가 28일 혹은 1일 공연 관람을 원한다면 좌석을 한 등급 올려줄 방침이다. 이 공연의 VIP석은 57만원, R석 45만원, S석 25만원, A석은 15만원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9일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이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의 수요를 학교가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에 학교 현장 긴급 점검

2012-08-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