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유산이 춤무대 오른다

우리 문화유산이 춤무대 오른다

입력 2013-03-04 00:00
수정 2013-03-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무용제전 13일부터 종묘제례악·아리랑 등 재해석

국내 유일의 한국창작춤축제인 ‘한국무용제전’이 오는 13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다. 27회째를 맞이한 한국무용제전은 올해 주제를 지난해와 같은 ‘세계 속의 한국문화유산을 춤추다’로 정하고, 종묘제례악부터 아리랑까지 우리 문화유산을 재해석한 작품들을 준비했다.

이미지 확대
축제를 준비한 한국춤협회의 백현순(한국체육대 무용과 교수) 회장은 “우리 문화유산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는 기쁜 소식이 전해지지만 그런 뒤에는 관심이 사그라지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난해의 연장선에서 주제를 찾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 참여한 안무가들이 다른 시각으로 풀어낸 신작들로 구성했다”고 덧붙였다.

13일 개막 축하공연은 문화유산의 원형과 창작이 어우러지는 공연으로 꾸며진다. 김영숙 정재연구회 예술감독이 진행하는 종묘제례악보존회의 ‘종묘제례악’, 법현 스님(동국대 한국음악과 교수)의 ‘영산재’, 국립국악원의 ‘강강술래’, 최정임 정동극장장의 ‘동백꽃 아리랑’, 윤덕경 서원대 교수가 강릉단오제를 바탕으로 안무한 ‘해가 뜨는 날’, 박재희 청주대 교수의 한영숙류 ‘태평무’, 한명옥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의 ‘소고춤’이 펼쳐진다.

15일 공연에서는 채향순 중앙대 교수가 안무하고, 조주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연출한 ‘사당각시’가 오른다. 핍박 속에서도 처절한 예술혼을 피워낸 남사당패의 여정과 사랑을 그렸다. 정선혜 한예종 교수가 강강술래와 설화를 접목한 ‘문지기 문지기 문열어라~’, 최병규 서울예술단 지도위원이 안무한 ‘아리랑 수월래’가 이어진다.

17일에는 박시종 청주대 교수가 영산재 나비춤을 처연한 몸짓으로 표현한 ‘나비꽃 한 쌍’을 비롯해 김용복 얼몬무용단 예술감독이 판소리 춘향가를 몸의 언어로 변형한 ‘춘향’, 춤·전라북도 이경호 무용단이 ‘태조의 꿈’을 선보인다. 20일에는 김남용 한성대 무용과 교수의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김은희무용단의 김은희 대표가 안무한 ‘처용’, 백정희 한국무용과학회장이 제주칠머리당굿에서 낯선 움직임을 끌어낸 ‘바람아래’를 펼친다. 2만~3만원. (02)410-6888.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3-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