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자리? 욕심 없어요… 좌우로 연기폭 넓혀갈래요”

“최고의 자리? 욕심 없어요… 좌우로 연기폭 넓혀갈래요”

입력 2013-03-25 00:00
수정 2013-03-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뮤지컬 ‘아이다’ 공주 암네리스 役 정선아

정선아 뮤지컬배우
정선아 뮤지컬배우
누비아 공주 아이다와 이집트 장군 라다메스의 애절한 사랑,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의 큰 줄기다. 영국 팝스타 엘튼 존과 작사가 팀 라이스는 이 오페라에 ‘윤회’를 가미해 시공을 초월하는 사랑을 강조한 뮤지컬로 제작해 2000년 3월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초연했다. 록과 가스펠, 발라드 등 다양한 음악 장르에 화려한 의상, 조화로운 색감의 조명, 역동적인 안무가 어우러져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죽음도 함께한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사랑은, 이집트 공주 암네리스로 인해 더욱 애절하고 위대해진다. 공주는 조연으로 느껴지기 십상이지만 이번 공연에서는 다르다. 관객들은 치장하기 좋아하고, 결혼만을 꿈꾸는 철없는 공주의 성장기까지 경험하게 된다. 약혼자를 잃고 권력 암투를 겪으면서 파라오의 딸로 우뚝 서는 암네리스는, 그 어느 때보다 입체적이고 강렬했다. 그래서 어떤 이는 이번 작품을 뮤지컬 ‘암네리스’라고 바꿔 부르기도 한다. 그 동력은 연기력과 가창력을 모두 갖춘 배우 정선아(29)의 힘이었다.

“1막에서 화려한 관능미를 뽐내던 암네리스가 2막에서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 흐름이 매끄럽지 않으면 설득력을 얻기 힘들어요. 암네리스의 변화에 공감한다는 얘기를 들을 때마다 정말 잘하고 있구나라고 느끼죠.”

뮤지컬 ‘아이다’ 공연이 한창인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 디큐브아트센터에서 만난 정선아는 “아마도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성격이라 암네리스가 잘 맞는 듯하다”면서 “청순가련한 비련의 주인공도 해봤지만, 내게 잘 맞는 역할은 역시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샤방샤방’(화려하고 생기 넘치는)한 것”이라면서 생긋 웃었다.

정선아 뮤지컬배우
정선아 뮤지컬배우
그는 2010~2011년에도 암네리스로 뮤지컬 ‘아이다’ 공연을 했다. 원캐스트로 4개월 가까이 무대에 올랐다. 고음도 소화해야 하는 역할이라 다른 일정을 거의 배제하고 목과 체력을 관리하면서 버텼다. “이때 정말 열심히 했고, 또 잘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은근히 상도 기대했었는데, 미끄러졌죠. 그런 실망감을 아니까, 주위 사람들이 이번 공연을 두고는 ‘뭘 또 해’, ‘지겹지 않으냐’고 물었어요. 그런데 포기할 수 없더라고요. 이 작품과 인물을 정말 사랑하거든요.”

거침없이 솔직하게 말을 쏟아낸 그는 이번 작품에서 다른 기대도 품고 있었다. 오리지널 협력연출가인 키스 배튼이 내한하기로 돼 있었던 터라 분명 뭔가 배울 게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2년 전 암네리스는 화려하고 밝은 사랑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다”는 그는 “그러나 이제 아이다와 라다메스의 사랑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암네리스의 쓰라린 심정을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설명했다. “파라오를 배신한 라다메스와 아이다를 함께 지하 돌감방에 가두는 것으로 마지막 자비를 베푸는 암네리스야말로 이 작품을 마무리 짓는 역할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새치름히 입을 삐죽대기도 하고 자신은 ‘자뻑’(자신에게 홀딱 빠진) 캐릭터라면서 호탕하게 웃어 젖히는가 하면, 자못 진지한 표정으로 속내를 꺼내는 모습이 딱 암네리스다. 그런데 그가 이제 정반대의 역할에 도전한다. 새달 26일 개막하는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에서 예수를 사랑하고 위로하는 마리아로 변신한다. 의미 있는 인물이지만 부르는 노래가 앙상블을 포함해 6곡 정도로, 비중은 크지 않다.

“난 어디서든 빛나니까 괜찮다”는 농담을 던지며 깔깔댄 정선아는 “에너지가 가득하고 화려해 보이는 지금이야말로 어떤 역할이든 가장 멋있게 소화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주연인지 아닌지가 중요하지는 않아요. 무엇이든 내가 제일 멋있을 거라고 자기최면을 걸거든요.”

2002년 뮤지컬 ‘렌트’로 데뷔한 그는 뮤지컬 배우로서 10년을 꼬박 채우고, 이제 새로운 10년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동안 뮤지컬어워즈에서 여우조연상과 인기스타상을 탔고, 티켓파워를 입증하는 골든티켓 여자배우상도 받았다. 꾸준한 상승세에 있는 ‘잘나가는 배우’인데도 정작 그는 “최고가 돼야 한다는 생각은 없다”고 했다. “어디가 최고점일까요. 그럼 언젠가는 내려와야겠죠? 전 욕심 없어요. 그저 좌우로, 연기폭을 넓혀가는 게 바람입니다. 공연을 위해, 그 역할을 위해 사는 것, 그게 내 삶이니까요.”

글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사진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013-03-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