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영섭 경질 후 한달째 공석
정부가 숭례문 부실 복구의 책임을 물어 변영섭 문화재청장을 전격 경질한 뒤 한 달 넘게 후임 인사를 내지 못하면서 초유의 인사 공백을 이어가고 있다. 숭례문 사태 해결 등 문화재 행정 전반에 걸친 과제가 산적해 있으나 청장 후보로 지목된 사람들이 잇따라 고사하거나, 승낙했더라도 까다로운 청와대의 인사 검증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장 인사는 해를 넘겨 내년 초까지 결론을 내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일각에선 청장 인사가 늦어지는 이유 중 하나로 문화재청장에 대한 ‘환상’이 깨졌기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그간 문화재계에선 문화재청장이 문화재 행정 전반을 주무르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로 인식돼 왔다. 연간 문화재 관련 예산만 6148억원(2013년 기준)에 이른다. 하지만 장관 승진으로 중도에 사퇴한 최광식(5대) 청장을 제외하면 대부분 크고 작은 구설에 휩쓸리며 사퇴의 빌미를 제공했다. 문화재계에선 문화재청장이 이미 파리 목숨보다 못한 존재로 전락한 상황이다.
실제로 문화재청을 관리하는 상위기관인 문체부는 지난달 중순 이후 4~5명의 후보군을 선정, 꾸준히 개별 접촉을 벌여 왔다. 후보군은 전직 관료, 교수, 문화재 전문가 등을 포괄했으나 모두 완곡하게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는 이달 초까지 3~4명의 인사를 추가 접촉해 2명을 청와대에 천거한 상태다. 한 명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추진단에서 일했던 문화재 행정 전문가이고 다른 한 명은 대학교수 출신으로 문화재계에서 꽤 알려진 사람들이지만, 여지껏 청와대로부터 확답을 받지 못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예전 대학교수 출신 청장들에 대한 현 청와대의 평가가 썩 좋지 않은 데다 마땅한 관료 출신도 찾지 못하고 있다”면서 “지난 10월 김종 문체부 2차관을 임명할 때처럼 청와대가 ‘깜짝 인사’를 내놓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청와대는 김종 전 한양대 예술체육대학장을 2차관에 내정할 당시에도 문체부가 추천한 2~3명의 인사들을 모두 배제한 채 자체 인력 풀과 검증망을 통해 최종 낙점한 바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2-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