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이 끝나고 드러나는 진실… 반전의 ‘키스’

막이 끝나고 드러나는 진실… 반전의 ‘키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4-25 02:27
수정 2023-04-25 2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세종문화회관 제공
세종문화회관 제공
“누군가랑 키스했어.”

친구의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친구는 그것도 모른 채 연인에게 청혼하는 막장극이 전개될 때 난데없이 방에 들어온 여성이 이렇게 말한다. 또 다른 막장 치정극의 연속일까, 다른 이야기가 있는 걸까.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더니 어영부영 연극이 끝난다. 100분짜리 연극의 절반도 못 채우고 배우들이 인사하니 당혹스럽기 그지없다.

이대로 ‘반전이 없는 것이 반전인가’ 싶을 때 연극 ‘키스’의 반전이 시작된다. 퍼즐을 다시 맞춘 ‘키스’는 2014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가 배경인 것이나 ‘허를 찌르는 반전의 충격’이란 소개가 어떤 의미였는지 비로소 이해하게 한다. 반전(反轉)을 통한 반전(反戰)의 메시지도 묵직하다.

서울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국내 초연으로 지난 7일 개막한 ‘키스’는 충격적인 반전으로 연극의 매력을 듬뿍 뽐낸다. 칠레의 젊은 작가 기예르모 칼데론의 작품으로 2014년 독일 뒤셀도르프 초연 이후 북미 전역에서 공연을 이어 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세종문화회관 제공
세종문화회관 제공
2014년 어느 날 다마스쿠스의 한 집에 4명의 청년이 모인다. 아메드와 하딜, 유세프와 바나가 각각 연인이다. 바나를 제외한 인물끼리 삼각관계로 얽혀 막장극이 전개될 때 누군가와 키스한 바나가 등장한다. 키스의 사연을 정확히 모른 채 극이 끝나자 우종희 연출이 무대로 등장한다. 시리아 출신으로 현재 레바논에 있는 원작자와 연락이 닿았다며 갑자기 영상 통화를 한다.

작가와의 대화는 수수께끼투성이였던 작품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키스는 어떤 비극에 대한 은유였고, 2014년 당시 다마스쿠스가 전쟁 중이라는 점도 상기시킨다. 이후 똑같은 대사를 다른 상황 속에서 전개하면서 막장극 같았던 대본의 숨은 진실이 드러난다.

‘키스’의 반전은 연극이 해석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창조될 수 있는 예술인지, 글을 통한 이해가 얼마나 불완전한지 깨닫게 한다. 피노체트 독재정권에서 삼촌을 잃은 칼데론이 독재정권에 대한 저항으로 촉발된 시리아 내전을 배경으로 삼았다는 점은 예술의 역할과 의미를 깊이 생각하게 한다.



직접 번역까지 맡은 우 연출은 “극단적인 상황 속 삶의 소중함, 다른 문화권에 대한 시선, 더 나아가 예술을 창작하고 공유하는 방식들에 대해 흥미롭게 얘기해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키스’는 자주 접하지만 피상적으로 다가오는 타국의 전쟁과 그 속에서 절망적으로 살아가는 타자들의 슬픔을 깊이 마주하게 한다. 오는 30일까지.
2023-04-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