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무용단 ‘여자야 여자야’
안은미 “관습 도전, 위대한 여성”

국립현대무용단 제공
안은미의 ‘여자야 여자야’는 12명의 무용수가 부채를 비롯한 다양한 소품을 활용해 개화기 유교적 관습에서 벗어나려는 여성,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 여성, 독립운동에 나선 여성 등 다양한 신여성의 모습을 보여 준다.
국립현대무용단 제공
국립현대무용단 제공
현대무용가 안은미(60)는 어느 날 엄마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서양 문명이 들이치고 왕조가 망하고 식민 지배를 당하던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신여성’들의 삶을 공부하다 그 시대를 살았던 엄마의 이야기가 궁금해져서였다. 자신의 생명력의 근원을 묻는 대담한 질문이었지만 쑥스러워하던 엄마의 대답은 “진짜로 기억이 잘 안 나”였다고 한다.
엄마의 기억을 소환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안은미는 근대 신여성들의 기억을 끄집어내 모았다. 오는 24~27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선보이는 ‘여자야 여자야’가 그 결정체다.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무용가인 그가 국립현대무용단과 함께하는 첫 작품이기도 하다.
최근 서울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만난 안은미는 “여성의 힘이 할머니, 어머니를 떠나서 제약 없이 확장될 수 있는 에너지를 보여 주는 게 이번 공연의 주제다. 이름을 열거할 수 없는 다수의 위대한 여성에게 바치는 헌정 댄스”라고 설명했다.

현대무용가 안은미
과거를 조명하지만 고루하고 정적인 무대와는 거리가 멀다. 무용수들의 체력을 극한까지 몰아붙이는 춤과 화려한 무대연출, 안은미가 직접 디자인한 의상, 밴드 이날치의 음악감독 장영규(55)가 만든 음악 등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을 요소가 가득하다. 시대의 벽에 부딪혀 좌절하면서도 자신의 삶을 용감하게 추구했던 여자들의 면면이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무대에서 신여성들의 꺾이지 않았던 마음과 그 속에서 태동한 강렬한 에너지가 뿜어 나온다. 신여성들의 치열한 삶을 조명한 안은미는 “앞으로 우리가 이어 가야 할 치열함은 무엇일까 질문을 던지고 싶다. 잘될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3-08-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