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안 조계종 승가대학원장 펴내
금강경(剛經)은 조계종의 소의(所依·근본으로 삼는) 경전이다. 깨달음의 길을 제자 수보리와 석가모니 부처의 문답 형식으로 제시한 짧은 경전이지만, 간명한 내용 안에 깊은 가르침을 가지고 있어 해방 이후에 나온 번역본만 100여종에 이른다.
지안 스님
서울 인사동에서 8일 만난 지안 스님은 “기존 100여종 번역본들은 대부분 개인 취향에 따라 번역이 다르고, 금강경의 깊은 뜻을 제대로 해설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의식을 살려 스님은 어려운 한자말보다는 쉬운 현대어로 원문을 옮기고 상세한 해설을 달았다. 또 지난해 스님을 포함해 여러 학승들이 모여 조계종단 차원에서 펴낸 ‘조계종 표준 금강경’을 원본으로 삼아 권위를 살렸다.
스님은 금강경이 불자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꼭 봐야 할 필독서라고 강조한다.
그는 “금강경은 ‘상(相·감각으로 맺어진 형상)’ 놀음으로 가득한 현대사회의 주름을 다리미로 다리듯 펴주는 경전”이라면서 “자아, 인간, 중생, 수명에 대한 고집을 버리고 집착 없이 보시하라는 금강경의 가르침은 탐욕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유효하다.”고 역설했다.
스님은 35년간 교학에만 힘써온 학승이다. 통도사 강주를 비롯, 교육원 고시위원, 역경위원장, 승가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자신이 회주로 있는 통도사 반야암에서 반야불교학당과 반야경전교실 등을 개설해 후학 양성은 물론 재가자 교육에도 힘을 쏟은 강백(講伯)이다.
이런 경력을 살려 스님은 경전 이해를 돕고 공부하는 재미를 살리기 위한 방법으로 설화를 택했다.
책에는 ‘육조단경’ 등 다른 경전에 수록된 이야기부터 불교설화, 선사들의 어록, 해골 물을 마신 원효 스님 등 고승들의 흥미로운 일화들도 실려 있어 금강경 이해를 돕는 한편 전반적인 불교 지식도 쌓을 수 있게 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3-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